-
-
[세트] 키메라의 땅 1~2 세트 - 전2권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김희진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8월
평점 :
* 이 글은 서평단에 선정되어 주관적으로, 그러나 진심을 담아 작성한 글입니다.
‘언제적 베르나르인가? 나를 공짜 책으로 사려고 하는 겐가?
라고, 꾸짖기에는 너무나도 재미있는 이야기였다.’
3차 세계대전과 파멸적인 핵전쟁으로 방사능을 피할 수 있는 일부 지역에 있던 소수의 인류 집단만 제외하고 인류 문명은 궤멸하게 됩니다. 지구 곳곳에 흩어지게 된 소수의 생존자 무리는 그저 살아가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 것이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진화생물학자 알리스 카메러는 이런 상황에서도 인류종의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모종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고, 그녀는 우여곡절 끝에 이 연구의 결실과 함께 한 생존자 집단에 합류하는데 성공합니다. 이 결실은 바로 유전공학으로 탄생한 인류와 동물의 혼종. 알리스는 각각 박쥐, 두더지, 돌고래의 유전자와 인간의 유전자를 조합하여 포스트 아포칼립스 하에서도 생존이 가능한 새로운 생명을 창조한 신이 된 것입니다.
알리스는 혼종들의 어머니가 되어 정성껏 이들을 키우며 인간 세상에 녹아들게 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처음에 우호적이었던 구인류는 이들을 점차 적대적으로 대하게 됩니다. 의식과 지능은 인류이지만 외모는 동물인 이들을 끝내 동족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게 된 것이죠. 결국 알리스는 이들을 떠나 또다른 인류 집단-프랑스 대통령과 내각 정치인들, 소수의 군부대와 일반인으로 이루어진 작은 국가와 같은-에 합류하게 됩니다. 알리스는 이전의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 인간과 혼종의 조화로운 생활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알리스의 도움으로 점차 개체수를 불리게 된 혼종들은 인간들과 큰 충돌 없이 평화롭게 살아가게 됩니다. 유전적 다양성을 통한 인류 종의 진화를 꿈꾸는 알리스의 바램은 과연 이루어질 수 있을까요? 이들 신인류와 구인류는 황폐한 지구에서 존속하며 인류의 과거의 영광을 되찾을 수 있게 될까요?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익숙하고 평범한 주제를 자신만의 독창성과 상상력으로 이야기를 풀어내는 데 탁월한 능력을 가진 작가입니다. 예술 작품에서 ‘인류 혼종’은 거의 클리셰에 가까울 정도로 되풀이되는 소재입니다. 역사적으로 가까이는 코믹스나 영화의 히어로들이-스파이더맨이나 헬보이 등의-멀게는 고대 신화의 반인반수-이 책의 제목의 일부이기도 한 ‘키메라’를 포함한-들이 그렇습니다. 과거의 인류 혼종이 영웅에게 퇴치당하는 빌런으로서 소비되는 캐릭터였다면, 근대 이후의 예술에서 등장하는 인류 혼종은 영웅 또는 독자적인 세력인 캐릭터로서 이야기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구인류와 신인류로서의 혼종간의 갈등이 서사의 핵심 요소가 되는 경우가 많죠. ‘키메라의 땅’은 혼종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기술적-과학적-하드SF적 묘사보다는 이들과 구인류와의 관계에 집중합니다. 창조주인 알리스와 각고의 노력으로 구인류 집단에 통합되는듯 보였던 혼종들은 내면은 인간이나 외면은 그렇지 않다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인류로부터 튕겨나가게 됩니다. 아이러니한 것은, 같은 편이라 할 수 있는 혼종들 간에도 반목과 갈등이 생기며 결국 세 혼종이 다른 세력을 이루게 되고, 서로 적대하게 된다는 것이죠. 창조주인 알리사 역시 이들을 인류종으로 견지하는 태도를 버리지 못하는 모순을 보입니다.
결말 이후의 세상이 어떨지 상상하는 것은 독자의 몫입니다. 이들이 갈등을 극복하고 결국 화합하여 지구의 신 인류문명을 재건할 것인지, 아니면 반목과 전쟁을 거듭하다 또다시 멸망을 길을 걸어가게 될지 말이죠. 현실의 인류 문명은 아직도 행성 단위의 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있음을 간간과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어쩌면 베르나르는 이 현실에 준엄한 경고를 주기 위해 이 소설을 썼는지도 모르구요.
* 인스타그램/네이버 블로그/알라딘 서재에서 ‘도란군’ 계정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키메라의땅 #베르나르베르베르 #프랑스문학 #SF #포스트아포칼립스 #에어리얼 #노틱 #디거 #열린책들 #서평 #소설 #문학 #책 #책읽기 #독서 #독서리뷰 #도서관 #도란군 #도란군의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