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를 왜 `24'시간으로 나누었을까요?

[답변] 먼 하늘의 별을 보고 다시 그 별이 같은 위치로 오는 시간을 일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고대인들은 1년을 측정했습니다.

시간이 중요해진 것은 물론 농경을 시작하면서 씨뿌리고 추수하는 시기를 알기 위해서입니다. 지금처럼 1년을 12달로 나누고 하루를 24시간, 1시간을 60분, 1분을 60초로 나눈 것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입니다. 고대인들의 역법인 태양력은 해의 운행만을 고려하므로 자연의 시간에 따라 1달의 길이를 정한다면, 1달은 해가 황도 위를 한 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을 12로 나누어서 그것을 1달의 길이로 정하면 됩니다. 12로 나눈 것은 물론 달이 12번 차고 기울기 때문입니다. 또 고대인들은 하루를 밤ㆍ낮으로 나누고 각각을 다시 12시간으로 나누었습니다. 그 결과 24시간이 된 것입니다.

분과 초를 60등분한 것은 아마도 메소포타미아의 산술이 60진법과 10진법을 혼용한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60진법을 쓴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습니다. 아마도 여러 민족이 사용하던 도량형을 통일하면서 가장 약수가 많은 60이란 수를 사용한 것이 아닐까 추정합니다.

이것이 로마를 거쳐 전 유럽에 퍼져 태양력으로 자리잡았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동양의 태음력에도 24란 수가 나오지요. 바로 24절기입니다. 음력은 계절에 관계없는 달의 움직임을 중요시한 것이기에 따로 계절의 변화를 알기 위한 24절기가 필요한 것입니다.

그러면 양력이 더 과학적일까요? 처음에 1년을 12로 나누어 한 달을 31,30일로 번갈아 두면서 잘 지켰지만 시저와 아우구스투스가 자신의 생일이 있는 달을 길게 해버린 이후 원칙이 무너져 잘 안 맞게 되었습니다. 태양이 황도를 도는 시간은 일정한데 인위적으로 1달을 늘리고 줄이니 안 맞게 된 것입니다. 이에 비해 음력은 철저히 달이 차고 기우는 것에 따라 달을 나누니 더 과학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waho 2004-05-07 2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군요...잘 읽고 갑니다.
 

[웃음의 34가지 테크닉]

1. 힘차게 웃으며 하루를 시작하라.
활기찬 하루가 펼쳐진다.

2. 세수할 때 거울을 보고 미소를 지어라.
거울 속의 사람도 나에게 미소를 보낸다.

3. 밥을 그냥 먹지 말라.
웃으며 먹고 나면 피가 되고 살이 된다.

4. 모르는 사람에게도 미소를 보여라.
마음이 열리고 기쁨이 넘친다.

5. 웃으며 출근하고 웃으며 퇴근하라.
그 안에 천국이 들어있다.

6. 만나는 사람마다 웃으며 대하라.
 인기인 1위가 된다.

7. 꽃을 그냥 보지 말라.
 꽃처럼 웃으며 감상하라.

8. 남을 웃겨라.
내가 있는 곳이 웃음천국이 된다.

9. 결혼식에서 떠들지 말고 큰 소리로 웃어라.
그것이 축하의 표시이다.

10. 신랑신부는 식이 끝날 때까지 웃어라.
새로운 출발이 기쁨으로 충만해진다.
 
11. 집에 들어올 때 웃어라.
 행복한 가정이 꽃피게 된다.

12. 사랑을 고백할 때 웃으면서 하라.
 틀림없이 점수가 올라간다.

13. 화장실은 근심을 날려보내는 곳이다.
  웃으면 근심걱정 모두 날아간다.

14. 웃으면서 물건을 팔라.
 하나 살 것 두 개를 사게 된다.

15. 물건을 살 때 웃으면서 사라.
서비스가 달라진다.

16. 돈을 빌릴 때 웃으면서 말하라.
웃는 얼굴에 침 뱉지 못한다.

17. 옛날 웃었던 일을 회상하며 웃어라.
웃음의 양이 배로 늘어난다.

18. 실수했던 일을 떠올려라.
기쁨이 샘솟고 웃음이 절로 난다.

19. 웃기는 책을 그냥 읽지 말라.
웃으면서 읽어 보라.

20. 도둑이 들어와도 두려워말고 웃어라.
도둑이 놀라서 도망친다.

21. 웃기는 개그맨처럼 행동해 보라.
어디서나 환영받는다.

22. 비디오 웃기는 것을 선택하라.
웃음 전문가가 된다.

23. 화날 때 화내는 것은 누구나 한다.
화가 나도 웃으면 화가 복이 된다.

24. 우울할 때 웃어라.
우울증도 웃음 앞에서는 맥을 쓰지 못한다.

25. 힘들 때 웃어라.
모르던 힘이 저절로 생겨난다.

26. 웃는 사진을 걸어 놓고 수시로 바라보라.
웃음이 절로 난다.

27. 웃음노트를 만들고 웃겼던 일 웃었던 일을 기록하라.
웃음도 학습이다.

28. 시간을 정해놓고 웃어라.
그리고 시간을 점점 늘여라.

29. 만나는 사람을 죽은 부모 살아온 것 같이 대하라.
기쁨과 감사함이 충만해진다.

30. 속상하게 하는 뉴스를 보지 말라.
그것은 웃음의 적이다.

31. 회의할 때 먼저 웃고 시작하라.
아이디어가 샘솟는다.

32. 오래 살려면 웃어라.
1분 웃으면 이틀을 더 산다.

33. 돈을 벌려면 웃어라.
5분간 웃을 때 5백만원 상당의 엔돌핀이 몸에서 생산된다.

34. 죽을 때도 웃어라.
천국의 문은 저절로 열리게 된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반딧불,, 2004-05-07 16: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갑니다..

뚜벅이 2004-05-07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예 ^^ 맘~껏.!
글구 많이 웃으셔요

반딧불,, 2004-05-07 18: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히히..웃게 만들어주시니 항상 감사하지요^^*
 

당신때문에 행복해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힘들어 하지 마세요
좌절하지 마세요
두려워마세요

당신 때문에 행복해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당신 때문에 살맛 난다고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당신이 있어 위안이 되고
감사해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당신은 귀한 존재입니다

나 또한 당신과 무슨 상관이겠습니까
그러나
당신 때문에 때로는 웃음 찾고 행복해 하고
당신이 주는 그리움으로 살아가는 사람도 있습니다

사랑이 아니라면
당신에 대한 믿음이 아니라면
이 모든 것을 나 역시 느끼지 못했을 것입니다

당신도 누구 때문에
위안을 받기도 하고 감사해 하겠지만

당신 때문에 그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사람도 있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꼭 만나야 할 사람이 있다면  

꼭 만나야 할 사람이 있다면..
정말 그런 사람이 있다면..
많이 헤메이다 많은 길로 돌아오는
힘든 걸음이 아니였으면 합니다.


꼭 만나야 할 사람이 있다면..
힘든 일 혼자서 겪고 지친 몸으로
쓰러져 가는 나약함을 봐야하는
순간이 아니였으면 합니다.


꼭 만나야 할 사람이 있다면..
상처 투성이의 마음으로 인연의 끈을
부정하고 두려워하는
겁쟁이가 아니였으면 합니다.


꼭 만나야 할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의 가장 가까운 곳에 아직
나의 자리가 남아 있었으면 합니다.


꼭 만나야 할 사람이 있다면..
정말 그런 사람이 있다면..
간절히 바라기를..
내가 더 지치기 전에 지금 내 앞에
나타나 주었으면 합니다.


정말 그런 사람이 있다면..
지금 나의 이 한숨 소리가 어딘가에 있을
그 사람의 가슴을 돌아 다시 나에게로
되돌아 오는 길이였으면 합니다.


꼭 만나야 할 사람..
그 사람과 어느 순간,
어느 장소에서 마주 칠 지라도
한 눈에 서로를 알아 볼 수 있도록
언제나 준비하고 있었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연이라는 것..  

(( 인연이라는 것... ))

살다보면... 만나지는 인연중에  
참 닮았다고 여겨지는 사람이 있습니다.  

영혼이라는게 있다면
비슷하게 생겨먹은 그런 사람이 있습니다.



한번을 보면 다 알아버리는 그 사람의 속마음과
감추려하는 아픔과
숨기려 하는 절망까지
다 보여지는 사람이 있습니다.



아마도 전생에 무언가 하나로는 엮어진게
틀림이 없어보이는 그런 사람이 있습니다.

깜짝깜짝 놀랍기도 하고
화들짝 반갑기도 하고
어렴풋이 가슴에 메이기도 한
그런 인연이
살다가 보면 만나지나 봅니다.

겉으로 보여지는 것 보담 속내가 더 닮은
그래서 더 마음이가고 더 마음이 아린 그런 사람이 있습니다.

그러기에 사랑하기는 두렵고
그리워 하기엔 목이메이고
모른척 지나치기엔 서로에게 할 일이 아닌것 같고

마냥 지켜보기엔 그가 너무 안스럽고
보담아 주기엔 서로가 상처 받을것 같고

그런 하나하나에 마음을 둬야 하는 사람
그렇게 닮아버린 사람을
살다가 보면 만나지나 봅니다..

잘은모르지만
아마도 그런게 인연이지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