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의 설렘
On the Road - 카오산 로드에서 만난 사람들
박준 글.사진 / 넥서스BOOKS / 200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우연찮게도 이 책은 내가 아주 아꼈던 여행기와 제목이 같다. On the road. 한현주의 책과 같은 제목.

게다가 이 책은 요즘 한창 잘 나가는 출판사 넥서스에서 출판된 탓에 교보를 가든 어디를 가든 빵빵한 이벤트, 진열 자리도 최고, 인터넷 서점에서도 눈에 띄는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책의 함량을 점검하기 전에 우선적으로 별로 맘에 안 들어버린거지. 난 거대 자본의 독점이 싫으니까. 

친애하는 오언니 자리에 이 책이 있길래, 읽을 책도 없길래, 그냥 한번 다 읽으면 빌려줘, 했더니 휴가가면서 가방이 무거웠던지 내 자리에 고스란히 올려줬다. 내지도 빳빳하고 무거운 책. 이쁘긴 이쁘다. 꼼꼼하게 만든 책이다. 

다 읽고난 후의 감상부터 말하자면, 정말 떠나고 싶어졌다.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되는 이 책은 각국의 여행자 (한국의 여행자가 50%다)들이 배낭여행자들의 천국, 카오산 로드에서 자신의 여행경력과 삶, 여행에 대한 생각들을 말한다. 박준이 썼지만 박준이 드러나지 않았으면 했는데, 중간 중간 자신의 경험이 튀어나온다. 달갑진 않다. 대신 군더더기가 붙여진 질문들은 없다. 

결국 떠나는 것은 용기와 결단, 그리고 대책없음이다. 앞을 생각하면 이 곳을, 이 자리를 떠날 수 없다. 여행이라는 것이 사실 시간과 돈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맘 먹으면 할 수 있는 일이긴 하다. 그리고 자신의 여행이 얼마나 흡족스러운지, 다녀와서 스스로가 어떻게 자랐는지, 혹은 달라졌는지, 혹은 퇴보했는지, 그대로인지는. 자신에게 달려있다.  

배낭여행자에도 '프로' 자가 붙는다. 배낭여행에는 정말 노하우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열린 마음과 여행길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친해지는 방법. 그 노하우는 길에서 밖에 배울 수 없으리라. 왜냐하면 모든 이들에게는 각자에게 맞는 노하우가 있을 것이므로. 그것은 누군가에게 전수되는 것이 아닐 것이므로. 

모두를 왕따시키며 자연스러울 수 있는 그 마음, 어디에서도 잘 적응할 수 있다는 자신감, 한때 느껴지는 외로움, 약한 자신을 확인하는 일... 그 모든것을 담고 있는 이 책은, 당신도 떠날 수 있습니다. 라는 게 결론같지만.  

그 결론에 홀딱 유혹당해서, 나도 한번, 가보고 싶습니다. 하게 됐다. 

 뭐, 한사람의 독자를 유혹하고 설득했으니

성공한 셈 치자. 

이 책을 읽고 얼마나 많은 이들이 짐을 꾸릴까?  

문득 궁금하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7-27 11: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돌돌 2007-07-27 14: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저 정말 호주 태즈메니아 꼭 가려구요~ 반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