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금서
김진명 지음 / 새움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대한민국의 韓은 어디에서 유래한 것일까? 국호에 자리 잡은 이 글자는 율해가 있을 터, 그 뿌리는 어디일까? 라는 고민에서 이 책은 시작된다. 작가 김진명은 이 답을 찾기 위해 많은 고서를 탐독하기에 몰두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얻은 하나의 추론. 이 추론을 가지삼아 소설을 풀어 내었다.

사실에 기초한, 고증에 기초한 소설. 그렇다고 사실이라고 인정받지 못하는 한계. 김진명 작가 소설의 매력이다. 너무나도 사실에 가까워 강한 반대를 만날 정도의 사실감. 역사를 왜곡한다는 험담을 들어야 하는 소설. 우리는 역사를 공부하는 것이 아니니 그 판단을 우리의 몫이 아니다. 주목할 것은 사실과 허구의 경계에 걸쳐 있는 소설의 가치이다.

저자는 이 책을 발표한 이후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기원전 7세기 무렵 편찬된 사서삼경 중의 한 권에서 나는 우리의 조상 한후(韓侯)라는 왕을 찾아낼 수 있었고, 후한의 대학자 왕부가 이 한후를 분명 우리의 조상이라고 확인한 저작과도 만날 수 있었다.
뻥 뚫린 상태로 있던 우리의 고대사에 고조선보다 훨씬 이전에 존재한 나라의 확고부동한 실체가 등장한 것이다."

저자가 찾아낸 이 실체를 작가는 주인공의 험난한 여정을 통하여 드러낸다. 마치 작가가 고생하여 찾은 결과를 우리가 느낄 수 있도록 주인공의 여정을 통해 독자는 진실 또는 진실에 가까운 허구를 만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대韓민국의 고대 역사와 이를 막으려는 중국의 현 움직임을 일깨워 준다.

오래간만에 읽은 역사소설 또는 역사정치소설. 김진명 작가의 매력은 여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