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 푸어, 벽을 넘는다>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하우스 푸어 - 비싼 집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
김재영 지음 / 더팩트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얼마 전 신문 기사에 하우스 푸어라는 신조어와 함께 하우스 푸어족의 삶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었다. 많은 이들이 "말못 할 내 사정이 정확하게 보도되어 반갑기도 하지만 씁쓸하다"라는 반응을 내 보였다. 비싼 집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 이들은 어떤 덫에 걸려 비싼 집에 가난하게 살게 되었을까?

개인의 탐욕과 사회성 부재라고 설명하기에는 규모가 너무나도 크고 비상식적이다. 개인의 탐욕, 경제를 읽지 못하는 아둔함이라고 하기에는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다. 저자는 실증적인 방법으로 사실에 기초하여 그 과정과 대안을 찾고자 노력한다.

우리나라의 부동산 시장의 병페, 부동산 시장을 둘러싼 수 없이 많은 이익단체들이 개인의 탐욕을 더 강하게 밀어 붙였다. 경제의 미래 방향성을 읽지 못하는 서민들의 아둔함이라고 하기에는 수 없이 많은 구조화된 병페와 모순이 커 미래를 미처 읽어 내지 못했다. 이 책에서는 그 병페들과 구조적 모순을 한 가닥 한 가닥 펼쳐 내어 모순의 굴레를 파악한다. 모델하우스, 언론의 문제, 선분양 제도의 모순, 신문에 나오지 않는 부동산 이야기 등 하나 하나가 하우스 푸어를 만들어 낸 장본인이다.

하우스 푸어를 만들어 낸 한국의 병페를 이겨내기 위한 대안과 결론은 저자의 직접적인 설명보다는 부동산 시장의 전문가들과의 좌담을 통해 대안을 탐색한다. 위기에 빠진 중산층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들려 주지만 읽을수록 화가 나는 것을 참을 수 없다. 너무 아픈 사실들, 그러나 멈출 수 없는 현재.

대안을 찾기에는 충분하지 않더라도 최소한 하우스 푸어를 양산한 배경과 과정만은 실증적인 자료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이제라도 대안을 모색하고 과거를 되돌아 보는 아픔의 시간을 갖는 것이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