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뱅상 카셀은 자신의 역을 뉴욕 시티 발레단 공동창단자 조지 발란신에 비유했다. 카셀은 발란신을 ‘주위를 자기 뜻대로 통제해야 직성이 풀리는 위인, 섹슈얼리티를 이용하여 무용수들을 지도한 진정한 예술가.’라고 말했다.
- 메릴 스트립이 니나 어머니 에리카 역으로 고려되었다.
- 블레이크 라이블 리가 릴리 역으로 오디션을 봤다.
- 영화가 처음 논의될 무렵엔 레이첼 바이즈와 제니퍼 코넬리가 주연으로 출연한다는 소문이 돌았다.
- 원 각본에서 니나의 이름은 알렉산드리아였다.
- 영화 배경을 프랑스로 하고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촬영하는 것을 고려했으나, 창의성과 예산 문제로 결렬되었다.
- 영화는 <언더스터디>라는 제목의 각본에서 탄생했으며 배경은 뉴욕 연극계였다.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은 각본을 마음에 들어했으나 발레로 바꾸자고 제안했다.
- 각본이 영화화되기까지 십 년이 걸렸다.
- 대런 아로노프스키는 오디션도 보지 않고 인터넷 전화통화로 밀라 쿠니스에게 릴리 역을 제안했다.
- 나탈리 포트만은 좀더 발레리나처럼 보이기 위해 9킬로그램을 뺐다.
- 영화 예산이 너무나 빠듯해서 스타 나탈리 포트만이 리프트 동작 중 갈비뼈가 탈골되었을 때 제작자에게 도움을 청했다. 예산이 너무 적어서 구급요원이 없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그녀는 품목을 빼서 예산을 줄여야 한다면 구급요원 대신 차라리 자기 트레일러 차를 빼라고 했다. 다음날 그녀의 트레일러는 사라지고 없었다.
- 위노나 라이더의 역할 촬영은 열흘이 걸렸다.
- 일주일에 하루도 빠짐없이 하루 5시간씩 석 달간 발레 교사와 연습한 끝에 밀라 쿠니스는 엉 뽀앙뜨(발끝으로 서는 거)로 춤추는 방법을 배웠다. 그녀는 어렸을 때 발레를 잠깐 배웠다.
- 전직 주연급 발레리나를 연기한 위노나 라이더는 어렸을 때 발레 수업에 딱 한 번 갔다. 그녀는 선생님이 정말 못됐다고 생각해서 다시는 돌아가지 않았다.
- 클린트 맨셀이 작곡한 사운드트랙은 차이코프스키의 ‘백조의 호수’ 발레의 변주지만, 거꾸로 그리고 뒤틀린 방식으로 연주되었다.
- 라디오 쇼 ‘테리 그로스와의 상쾌한 공기’에서의 인터뷰에 따르면 나탈리 포트만은 친구 밀라 쿠니스가 무용수 경험이 좀 있다는 것을 알고 릴리 역으로 추천했다.
- 나탈리 포트만은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이 촬영 중 영화 속 인물들의 긴장감을 고조시키기 위해 은근히 자신과 밀라 쿠니스를 서로 맞서게 하려 했다고 폭로했다.
- 나탈리 포트만은 무용 장면에서 늑골 탈골을 당했고 완전 회복까지는 6주가 걸렸다. 이후 무용 장면에서 반복 부상을 피하기 위해 그녀의 옆구리가 아니라 겨드랑이를 잡아 들어올렸다.
- 나탈리 포트만은 역할을 위해 4-13세까지 배운 발레 경력을 끌어왔다. 그녀는 영화 본격 촬영 일 년 전부터 발레 연습을 재개했다. 메리 한 바워즈(전 뉴욕 시티 발레단 소속)과 훈련했으며 훈련 계획표에는 토(toe) 연습 15분(무용 장면에서 발끝으로 설 수 있게)과 상당한 근육 다듬기, 그리고 하루에 1.6킬로미터 수영이 포함되어 있었다.
- 나탈리 포트만은 촬영 중 머리를 부딪혀 뇌진탕을 일으켜 MRI촬영을 해야 했다.
- 늑골 탈골로 인해 나탈리 포트만은 촬영 중 물리치료를 받아야 했다.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에 따르면, 포트먼은 영화 속 한 장면에서 진짜 물리치료사에게서 실제 물리치료를 받고 있었다고 한다.
- 마크 마골리스가 대런 아로노프스키에 대한 호의로 ‘5줄 배역’(대사가 다섯 줄도 안 되는 단역)으로 출연했다. 그의 대사는 영화에서 편집되었다.
- 나탈리 포트만이 일부 발레 장면을 하기는 했으나,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의 프로 발레리나 사라 레인이 대역을 맡았다. 이러한 대역 장면은 복잡한 엉 뽀앙뜨 기술(푸에테, 피케 턴)과 포트만의 허리 아래 다리와 발에 포커스를 맞추는 거의 모든 촬영 장면들이 해당한다.
- 니나가 토슈즈를 ‘길들이는’ 방법은 전부 일반적인 방식이다 - 바닥 뜯어내기, 리본을 다시 꿰매 붙이기, 리본 끄트머리를 그슬리기, 마찰력을 얻기 위해 유리로 바닥 긁어내기 등.
- 발레단 단장의 성 ‘르로이Leroy’는 프랑스어 'le roi'(왕)과 비슷하다 - 왕자와 사랑에 빠지는 마법에 걸린 공주 역할로서의 니나의 정체성 측면에서 의미를 지닌다.
-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 발레리나 마리아 리체토가 발레 장면에서 밀라 쿠니스의 대역을 했다.
- 영화 속 다른 무용수들은 펜실베이니아 발레단 소속이다. 영화는 발레단이 원정 공연을 하지 않던 시기인 2010년 1월 뉴욕 퍼체이스에서 촬영했다.
- 니나의 핸드폰 벨소리는 흑조의 테마이다.
-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은 원래 이 이야기를 <레슬러>(2008)의 한 부분으로 구상했으며 실제로 발레리나와 레슬러의 연애에 관한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나, 레슬링과 발레 같은 두 세계를 한 영화에 담기는 과하다는 것을 꽤 일찌감치 깨달았다.
- 카메오 : 마크 마골리스 - 대런 아로노프스키의 이 단골 배우는 니나가 백조 여왕으로 발표되는 갈라 장면에서 등장한다.
- 욕조 속 니나의 오버헤드 샷은 일본 애니메이션 스릴러 <퍼펙트 블루>(1998)의 완벽한 복제다. <레퀴엠>(2000)에 앞서 대런 아로노프스키는 단지 이 한 장면에 쓰기 위해 리메이크 판권을 사들였다.
- 대런 아로노프스키는 라디오 인터뷰(KCRW의 ‘비즈니스’ 2011년 2월 14일 방송)에서 진행자 킴 마스터스에게 나탈리 포트만은 무용수 역할 준비를 위해 일년 전부터 훈련했을 뿐만 아니라, 영화 투자자를 찾을 때까지 7개월간 훈련비를 자비로 부담했다고 밝혔다. 아로노프스키는 영화가 완성된 공을 포트만의 성실성과 열성에 돌렸다.
- 대런 아로노프스키는 원래 2천 8백만~3천만 달러 정도의 예산을 바랐다. 영화를 위해 실제로 모은 투자금은 약 1천 3백만 달러였다.
- 니나에게 너무 연습이 과하고 좀 쉬어야겠다고 말하는 ‘진력난 피아노 연주자’ 역할은 여장 캐릭터 ‘립싱카’로 아마 더 잘 알려져 있을 존 에퍼슨이 연기했다. 에퍼슨은 실제로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반까지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에서 리허설 연주자로 일했으며,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나탈리아 마카로바, 루돌프 누레예프, 젤시 커클랜드 같은 발레계 별들의 리허설을 함께 했었다.
여기서부터 스포일러라 흰글씨 처리합니다. 보실 분만 긁어서 보세요.
- 영화 거의 모든 장면마다 거울 또는 모습이 비치는 표면이 있다. 유일하게 그런 물체가 없는 장면은 영화의 클라이맥스, 니나가 무대에서 흑조를 연기하며 그녀의 ‘어두운 면’이 지배하는 대목이다.
여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