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춘문예’를 접으며…   [2005. 1. 14]

[여담여담] ‘신춘문예’를 접으며…

신춘문예가 막을 내렸다. 문학시장이 죽었느니 어떠니 해도 날선 문학정신은 여전히 도처에서 시퍼렇게 살아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문학담당 기자의 입장에서, 종전 건성건성 읽고 지나쳤던 당선작들을 올해는 다른 신문들 것까지 모조리 찾아읽게 됐다.

그 뒤끝일까.‘쓴다는 것’에 대한 뜬금없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된다. 신춘문예 당선자들을 대하면서 그 ‘쓴다는 것’의 의미는 ‘고통’ 내지는 ‘두려움’이란 막연한 언표로 치환돼 갔다. 익명의 다수를 상대로 한자 한자 여백을 메워가는 글쓰기는 맨살을 드러내는 두려움의 고통임을, 한 당선자는 육성으로 확인해줬다.

하필이면 기자가 휴대전화를 챙기지 못한 채 출근한 날. 그 당선자는 당선소감 원고의 단어 하나를 고치려고 온종일 대답없는 휴대전화를 울렸노라고 했다.

고작 200자 원고지 석장 분량에서, 그것도 ‘대세’에 지장없는 사소한 단어 하나 때문에. 종이에 먼저 쓴 원고를 컴퓨터에 옮겨적는 게 평소 습관인데, 바빠서 그 순서를 어겼더니 영 신통찮은 표현이 있었다는 게 그의 용건이었다. 마감 직전 기자와 연락이 닿아 수화기 저편에서 안도하던 그의 숨소리를 오래 기억할 것 같다.

요즘 같은 인터넷 세상에 글쓰기의 두려움을 누구보다 더 즉각적으로 느끼는 이들이 바로 기자들 아닐까 싶다. 신문에 실었던 어쭙잖은 기사가 밤새 숱한 블로그들 속으로 퍼날려진 현실을 대면할 땐 등줄기가 서늘해지곤 한다.

최근 사회적 물의를 빚었던 기자들의 블로그 글도 ‘두려움 없는 글쓰기’의 그림자였을 터다. 그 글들이 무형의 인터넷 공간에서가 아니라 종이 위에서 한번이라도 정렬됐더라면 어땠을까. 부질없는 언사가 필화로 이어지는 경우의 수는 틀림없이 줄었을 것이다.

아이의 방학숙제를 도와주려 컴퓨터를 켜려는데 부러진 연필자루가 눈에 들어왔다. 드르륵 기계로 돌려깎으려다 내쳐 싱거운 객기를 더 부렸다. 참 오랜만에 서랍에서 연필깎는 칼을 더듬어봤다.


(서울신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