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소설가 되기 가장 쉬운 나라”  [04/12/30]
 
“위기의 한국문학, 재생의 처방이 있을까?”시작도 끝도 없을 해묵은 질문에 누군들 똑 부러지는 답을 내놓을 수 있을까. 그럼에도 부단히 그 해답의 실마리를 더듬어야 하는 것이 문학인들의 소명일 터.‘문학사상’ 1월호는 ‘한국문학의 위기, 전환점 오는가’란 주제의 신춘방담을 실었다. 문학평론가 이태동(서강대 영문과 명예교수)·김성곤(문학사상 주간), 소설가 윤후명, 시인 최동호(고려대 국문과 교수) 등 4인이 ‘문학의 살 길’을 놓고 단소리, 쓴소리를 뱉었다.

책을 읽지 않는 독자들만큼이나 작가들의 역량 부족이 무엇보다 먼저 반성해야 할 점으로 꼽혔다. 개인사에 치중하거나 이야기 자체에 천착하는 한국소설들은 문학소재의 다양성 면에서 치명적 약점을 가졌다는 것이다.

●“작가들 역량부족 반성해야”

윤후명씨는 ‘탁월한 이야기꾼’이라는 수식어는 작가에게 더 이상 칭찬일 수 없다고 지적했다.“이야기는 문학의 한 요소에 불과하며, 이야기만을 중시하는 태도가 문학의 세계화를 저해한다.”고 말했다. 이야기를 넘어 철학을 담는 문학이 절실하다는 데 견해들이 일치했다. 이태동 교수는 “우리문학의 해외진출이 더딘 것은 세계적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면서 “세계적 베스트셀러 ‘다빈치 코드’ ‘연금술사’처럼 보편성 있는 주제를 이슬람·기독교 사상으로 전하는 식의 범세계적 문학관을 가져야 할 때”라고 짚었다.

윤후명씨는 소설가의 한 사람으로서 신랄한 자기반성을 하기도 했다.“우리나라는 소설가가 되기 가장 쉬운 나라란 이야기를 듣는데, 그만큼 작가들이 공부를 안 한다는 지적일 것”이라면서 작가들의 자성이 앞서야 한다고 꼬집었다. 최동호 시인도 “자기 자신의 삶에 대해 쓰면서 시대의 문제, 세계의 문제까지 나아갈 수 있는 시인이 몇 명이나 있을까 생각해봤다.”고 작가들의 분발을 촉구했다.

●보편적 주제 지닌 작품탄생 절실

문학을 지원하려는 제도에도 허점이 많다는 게 공통견해. 정부의 문예진흥정책이 도마에 올랐다. 기초예술로서의 문학에 양적 지원 확대가 시급하다는 지적들이다. 정부가 해마다 발표하는 문화예산지원액의 대부분이 관광예산으로 쏠리는 것도 재고돼야 할 문제(윤후명)라는 것.

●정부 문학지원 예산 확대 시급

‘문학성’과 ‘대중성’의 균형을 맞추지 못하는 작가들이 문학의 공동현상을 부추겼다는 반성은 거듭된다.“독자들은 디지털 코드를 선호하는데, 작가들은 활자문화 코드를 갖고 있다.”(최동호)

대중문화의 한류열풍을 발빠르게 문학 발전에 접목시킬 필요성도 제기됐다. 김성곤 주간은 “한류 덕분에 한국어를 배우려는 사람들이 많아졌는데 이 분위기를 본격문학이 따라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후명씨는 ‘문화의 북방정책’이라는 구체적 대안을 제시했다. 차제에 적극적인 번역작업 등으로 서양보다는 중국·러시아를 집중공략하자는 견해다.“경제성장 속도는 빠르지만 ‘문화적 공황’에 빠진 중국을 제치고 동남아권의 문화 헤게모니를 잡을 때”라고 그는 강조했다.


(서울신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