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향기 넘쳐흐르는 광장  [04/12/15]
 
[문화마당] 꽃향기 넘쳐흐르는 광장

언젠가 작가 이윤기와 대담을 할 때 ‘무쇠 솥을 뚫는 모기의 기’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작가가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을 번역할 때, 너무 어려워 중도에 포기할까 말까 망설이던 중, 문득 무쇠 솥을 뚫는 모기의 기를 생각했다는 것이다. 종이도 못 뚫는 모기가 어떻게 두꺼운 무쇠 솥을 뚫는다는 말인지. 어리둥절해하는 나를 보고 작가는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 모기는 결코 솥을 뚫을 수 없다. 그러나 뚫고자 하는 강한 의지로 덤벼든다면 어떤 형태로든 흔적을 남길 수 있지 않겠는가. 또 수천, 수백만 번 되풀이한다면 뚫릴 수도 있지 않은가.

작가는 그런 모기의 기로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번역 일에 덤벼들어 정말 힘들게 그 작업을 완성했다는 것이다. 이후 나는 작가의 작품들을 접할 때마다 그 속에 담겨 있는 한 거대한 장인의 치열하면서도 엄청난 기를 느낀다. 장인이 창조한 일급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는 것만큼 가슴 두근거리는 일이 어디 있겠는가. 그리고 그러한 작품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사회를 살아간다는 것은 얼마나 자랑스러운 일인가.

우리 문화계는 하나의 상품이 유행하면 그 상품을 무조건적으로 모방하는 경향이 있다.‘조폭’을 다룬 어느 영화가 흥행에 성공을 하면, 앞다투어 비슷한 내용을 다루는 영화가 쏟아져 나온다. 웰빙이나 돈버는 것과 관련된 책이 유행하면 그런 책이 서점 진열대를 도배한다. 이러한 모방 현상은 힘들이지 않고 쉽게 문화를 상품화해서 돈을 벌고자 하는 물욕과 무관하지 않다. 그런 문화 상품들은 반짝하다 사라져 처치 곤란한 폐기물로 전락한다. 수많은 조폭 영화들, 엄청난 웰빙 책들, 그리고 또 다른 무수한 유행추수적인 문화 상품들의 폐기물이 쌓이고 쌓이면서 우리 문화의 광장을 오염시키고 있다. 이 모든 현상은 시류에 편승해 유행만을 좇는 문화 창조자들과 또 그런 문화를 아무 비판 없이 받아들이는 문화 수용자들의 잘못된 의식에 기인한다.

대가, 전문가, 장인이 사라진 광장, 그것이 오늘날 우리 문화의 실상이라면 지나친 비약일까. 허섭스레기들이 켜켜이 쌓여 있는 두꺼운 각질층을 치열한 장인정신으로 뚫고 나가지 않으면, 우리 문화의 광장은 더 많은 폐기물들로 뒤덮일 것이다. 도자기 하나에 자신의 모든 혼을 불어넣어 시대를 초월해 사랑 받는 명품을 만들어낸 도공, 가난에 찌들리면서도 그림에 삶의 전부를 걸고 위대한 미술품을 창조한 어느 화가, 인생의 절반을 바쳐 한 편의 대하소설을 쓴 작가, 그런 이들의 정신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하나의 작품을 창조하면서 그 속에 자신의 모든 혼과 정신을 투사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작품을 만들어 내고, 나아가 삶과 인생의 본질적 의미를 제시할 때, 우리 문화도 질적, 양적 측면에서 독창성과 다양성을 확보하면서 문화 본래의 모습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올 한 해의 일들을 반성하고 새로운 해를 맞이하는 자리에 서 있다. 새해에는, 딱딱하게 화석화된 우리 문화의 광장을 생명의 푸른 대지로 바꿀 수 있는 아름다운 문화가 활짝 꽃피기를 염원한다. 문화를 창조하고 수용하는 이들 모두가 ‘무쇠 솥을 뚫는 모기의 기’라는 장인의식을 가져보자. 그러면, 문화는 물론이고 우리 사회의 모든 광장은 각자의 개성을 지니면서 동시에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는 각양각색의 꽃들이 화려한 축제를 펼치는 일대 장관을 연출할 수 있을 것이다. 광장 가득 넘쳐흐르는 꽃향기에 취해 황홀경에 빠져보고 싶다는 간절한 희망을 새해의 찬란한 태양에 띄워 본다.


(문흥술 서울여대 교수·문학평론가)=서울신문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