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활동 입시반영의 전제 [04/11/07]
 
교육인적자원부는 2008학년도부터 비교과 영역의 활동을 교과 영역의 활동과 균형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2007학년도 고교 신입생부터 교과별 독서활동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하여 대학입학 전형요소로 반영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것은 선진국에 비해 독서량이 적은 우리 학생들에게 독서 분위기를 조성하고, 학교에서 독서교육을 강화하는 계기를 만들 것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교사의 업무 부담이나 사서 교사 부족, 도서실 장서 부족 등을 들어 제도 시행에 부정적인 시각을 갖는 사람도 있다. 또한 독서활동을 대학 진학을 위한 경쟁 요소로만 강조하게 되면 본질적인 의미는 퇴색하고 점수 따기로 전락될 가능성을 우려하는 이도 있다. 이에 학교 교육에서 독서 교육이 체계적으로 시행되고 학생들의 독서활동이 대학입학 전형으로 반영되려면 몇가지 기본 전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독서활동이 대학입학 전형으로 반영되려면 몇가지 전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독서 교육은 지식기반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기에, 교육개혁의 중심 의제로 삼는 인식이 필요하다. 또 독서 교육은 그 자체로도 중요한 교육 프로그램임을 인식해야 한다. 학생들의 독서활동에 필요한 여건도 개선되어야 한다.

우선, 학교 독서 교육은 지식기반 사회 발전의 원동력으로, 교육개혁의 중심 의제로 삼는 사회적 인식이 필요하다. 3~5년마다 정보의 양이 갑절 이상 증가하는 시대에서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유용하고 가치 있는 정보를 해석·판별해내고, 이를 재구성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데, 이러한 능력은 체계적인 독서 교육을 통해 가능하다. 여러 선진국에서는 독서 교육을 진흥하기 위한 학교도서관 건립과 범사회적 독서 운동 전개, 정보 문해 프로그램 등의 독서문화 인프라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이것은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둘째, 학교에서의 독서 교육은 그 자체로도 중요한 교육 프로그램임을 인식토록 해야 한다. 2002년 말 현재 일본 학교의 30% 정도에서 수업 시작 전 10분 간의 ‘아침 독서 운동’을 시행하고 있다. 그 결과 학생들의 성적 향상이나 수업 분위기의 개선은 물론, 집단 따돌림이나 결석·지각 등 학교 부적응 현상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유사한 교육 문제를 안고 있는 우리나라의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셋째, 학생들의 독서활동에 필요한 여건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독서량이 일본보다 뒤지며, 학교의 독서 여건도 현저하게 뒤떨어진다. 2002년을 기준으로 일본의 고등학교는 평균적으로 2만2198권의 책을 갖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고등학교는 6236권에 불과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초·중등학교의 전담직원은 학교당 0.29명으로 거의 대부분의 학교에서 사서 교사 없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인 데 비해, 일본은 2002년 말까지 12학급 이상의 모든 초·중등학교에 사서 교사를 의무적으로 배치하도록 하였고, 2002년부터 5년 동안 학교도서관 도서 구입비 예산으로 6500억원을 책정하였다.

학교 교육은 시대가 요구하는 가치를 반영할수록 사회로부터 그 효용성을 인정받기 마련이다. 따라서 독서활동을 단순히 대학 입시 제도란 기술적 변화의 메뉴로만 제시하지 말고 국가 경쟁력을 위한 시대적인 교육개혁 프로그램 차원으로 끌어올리는 노력이 절실하다. 나아가 지식기반 사회에서 요구하는 평생 학습자의 소양을 학교 교육을 통해 제대로 기를 여건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명주/공주교대 교수, 교육행정학)=한겨레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