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80그때 그시절엔] 정은숙 대표 '이청준의 소설들'  [04/10/17]
 
“젊은날의 속앎이 풀어준 작은 숨구멍”

1970년대 후반 나는 고향인 전북 전주에서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었다. 나는 한마디로 무지하게 평범한 학생이었다. 그 당시 평균적인 고등학생이 그랬듯이 학교와 집을 쳇바퀴처럼 오가며 막연하게나마 뭔가를 쓰기는 써야 하리라는 생각을 했었던 것 같다. 그러나 폭압적인 입시전쟁 속에서 그런 꿈이 가능할지 반신반의하기도 했다.

그런데 대학입시를 몇 달 앞둔 어느 날부턴가 나는 필시 입시가 주는 중압감과 그 반동 때문이었겠지만 두 사람의 우리 소설가에 매혹되기 시작했다. 그 두 작가란 바로 이청준과 김승옥이었다. 비교적 조숙하다는 평을 듣는 나였음에도 그들의 소설은 이해는커녕 겨우 독해만 가능한 수준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이상스럽게 수험생 현실과 동떨어진 세계에 나는 자꾸만 몰입해갔다. 그 바람에 학교 성적은 급전직하, 급기야 집에서 불호령이 떨어지기에 이르렀다.

대학에 진학하면서 나는 낯선 서울생활을 시작했다. 유난히 내가 다른 지방에서 온 유학생보다 더 부대낀다고 느꼈다. 연일 데모가 계속되는 학원, 뽀얀 먼지 사이로 날아오르는 돌멩이와 잡혀가는 학우들…. 오랜 권위주의 정권에 길들여져 자라온 나와 친구들은 적극적으로 행동하지도, 그렇다고 양심의 소리를 외면할 수도 없었다.

그 때 이청준의 문학을 다시 발견하게 됐다. 일몰 전에는 학교 도서관에서, 일몰 후에는 기숙사에서 나와 친구들은 ‘당신들의 천국’과 ‘소문의 벽’, ‘예언자’, ‘이어도’ 등을 닥치는 대로 읽었다.

특히 언어와 폭압적 지배의 문제를 그 특유의 알레고리 기법으로 그려낸 ‘언어사회학서설’ 연작은 우리 같은 회색분자들에게는 큰 인기였다. 이청준의 문학은 어쩌면 무력하고, 또 많은 부분 패배주의적인 생각에 빠진 우리들의 심성에 한 가닥 위안과 숨구멍이 되어준 것이 아니었을까. 그로 인해 촉발된 정치학도의 문학적 관심은 루카치와 잉게보르크 바하만, T S 엘리엇을 거쳐 김현의 문학사회학에 이르기까지 ‘제멋대로’의 유영(游泳)을 시작했다. 그리고 다시 내 시선은 이청준의 ‘눈길’에 와서 머물렀다.

그 후 선생을 직접 만나고, 그의 전집과 산문집을 만드는 자리에 서게 된 것도 70, 80년대 정치적 상황과 그 응전으로서의 소설읽기, 개인적으로 그 내밀한 속앓이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생각하곤 한다.


(동아일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