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의 기술 - 머리보다 손이 먼저 움직이는 (양장본)
사카토 켄지 지음, 고은진 옮김 / 해바라기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제목에 속고 광고에 속아 경영 실용서 분야의 자기계발과 관련된 책들을 사보거나 훔쳐 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분야의 책들은 흔히 폄하되기 십상이고, 또 이에 관해 누구도 "나는 이런 책을 좋아한다."라고 자랑하진 않지만, 또 누구나 한 권쯤은 이런 속세의 책들에 귀를 쫑긋 세우곤 한다. 그것이 정말 제목에 속고 광고에 속아서든, 정독이 아닌 훑음이든 말이다.
그만큼 자기계발과 관련된 책들은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무수한 필요와 자극을 느끼도록 하면서, 일상의 문제가 특정 개인만의 것이 아니라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렇게 하면 된다."며 자신있게 해결방안들을 제시해 준다.
그러나 때때로 하나의 주제문과 한 단락의 설명만으로도 충분한 내용을 너무도 불필요한 부연 설명들로 채워가며 이런 책들엔 정독이 불필요하다고, 이런 책은 뻔하다고 생각케 만드는 책들 또한 많다.
그래서일까. 군더더기 없는 [메모의 기술]은 책이 주장하고 있는 바와 책의 형식이 절묘하게 맞아 떨어지고 있는 것 같다. 책 안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메모에 관한 메모를 조금씩 다듬고 주제별로 분류하고 살을 덧붙이면 이런 책이 나오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이 책은 컴펙트하다.
지하철에서 이 책을 1/3쯤 읽고 난 후, 회사 책상 위, 내 오른손이 놓이는 바로 옆에 메모지를 만들어 놓을 만큼 실천을 충돌질하는 자극도 충분히 주고 있는 것 같다.
중학교 때 읽었던 메모광에 관한 수필을 접하며, 언제나 편집증 환자 같은 메모광을 꿈꾸면서도 쉽게 놓치고 있던 부분들, 이를 테면 노트를 여러 개 사용하지 말 것, 돌아다니는 동안은 가장 쉽게 노트와 펜을 꺼낼 수 있도록 준비할 것, 메모를 하고 나서는 주기적으로 다시 읽고 재정리하면서 데이타베이스를 만들 것 등 누구나 한번쯤 생각해 보았지만, 여전히 기억해 내지 못했던 부분을 살살, 너무도 간명하게 서술해 내고 있다.
이 책 대로만 한다면, 누구나 자신의 두되를 기억만 하는 공간으로서가 아니라 사고하고 창조할 수 있는 공간으로 98%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