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7년 6월
평점 :
작별에 관한 소설 중에 다시 읽고 싶은 작품을 찾기란 참 어렵다.
작별이라는 행위란 항상 어느 정도 아픔을 수반하기에 작별에 관한 글을 읽을 때 마음이 아픈 일은 너무나 자연스럽다. 하여 작별에 관한 소설 그러니까, 아픔을 느끼게 하는 소설임에도 다시 읽고 싶어지는 작품을 만나기란 매우 어렵다. 작별에 관한 소설은 많아도 한 번 더 읽고 싶은 마음에 곁에 두게 되는 작별 이야기는 아주 적다.
프레드릭 배크만이 쓴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은 제목부터 대놓고 슬픔을 암시한다.
'매일 이별하며 살고 있구나....'라고 읖조리는 어느 가요를 부를 때,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느끼는 허전함과 상실감을 제목에 걸어 두었다. '집으로 가는 길은 날마다 멀어져'라는 원제보다 이 제목이 훨씬 좋은 것 같다. 더 직접적이어서, 더 쉬워서 좋다. (원제는 길을 읽고 나서야만 이해가 되는 제목일 것 같다.)
아름다운 일러스트와 서정적인 문장들로 꾸며진 이 짧은 소설은 어느 노인과 그의 아들과 그의 손자의 작별을 그렸다.
이야기는, 치매에 걸린 노인의 환상 속에서 대부분 흘러간다. 노인과 손자가 다정하게 앉아 대화를 나누는 원형 공원은 햇살 같은 기억, 향기로운 그리움, 노인의 생애 동안 간직하고 품어온 평범한 비밀들로 채워져 있다. 노인은 거기서 날마다 좁아지는 공원을 느끼며, 멀리 바람에 날려 한 장씩 사라져가는 자신의 기억을 바라보며 손자와 대화를 나눈다. 이 모든 것이 결국 좁아지고 날아가 다 사라질 것을 예감하고 그것에 두려워하며, 그리하여 손자만큼은 마지막에 마지막까지, 할수 있는 한 가장 늦게까지 붙잡고 싶어 아이의 작은 손을 꽉 붙든 채로.
“우리, 작별하는 법을 배우러 여기 온 거예요, 할아버지?”
마침내 아이가 묻는다.
노인은 턱을 긁으며 한참 동안 생각에 잠긴다.
“그래, 노아노아. 아무래도 그런 것 같다.”
“작별은 힘든 것 같아요.”
아이가 실토한다.
할아버지는 고개를 끄덕이며 아이의 뺨을 부드럽게 쓰다듬지만, 손끝이 마른 가죽처럼 거칠기 짝이 없다.
74쪽
예감하지 못한 작별과 준비된 작별 중에 무엇이 더 슬프고 아픈지 나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무엇이든, 작별을 마주하고 그를 받아들여야 하는 순간들은 언제나 힘들다.
노인의 환상 속에서 노인은 손자와 그들이 풀어야 하는 숙제를 솔직히 털어놓는다. '작별하는 법을 배우러 여기 온 거예요?' 하지만 이야기 내내 그들은 조금씩 작별해왔다. 텐트에서의 기억과 선실에서의 기억, 아내와의 기억. 이미 조금씩 조금씩 작별하는 법을 배우고 있었다. 배우고 싶지 않아도 우리 모두가 그렇듯이, 하루하루가 작별을 배우는 이별의 날이 아니던가.
그러나 이 소설은 슬프고 아련하기만 한 소설은 아니다.
재치와 위트가 넘치는 상상력으로 즐거운 작품을 발표해온 작가의 매력은 이 작품에서도 빛을 발한다.
작별을 배우는 동안 내내 이어지는 노인과 손자의 대화는 이 작품을, 곁에 가까이 두고 다시 읽어보고 싶은 작품이자 언젠가 작별의 아픔으로 마음이 고단할 때 기댈 곳이 되어줄 이야기로 만든다.
“선생님께서 어른이 돼서 뭐가 되고 싶은지 쓰라고 하셨어요.”
노아가 얘기한다.
“그래서 뭐라고 썼는데?”
“먼저 어린아이로 사는 데 집중하고 싶다고 썼어요.”
“아주 훌륭한 답변이로구나.”
“그렇죠? 저는 어른이 아니라 노인이 되고 싶어요. 어른들은 화만 내고, 웃는 건 어린애들이랑 노인들뿐이잖아요.”
“그 얘기도 썼니?”
“네.”
“선생님께서 뭐라고 하시던?”
“과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고 하셨어요.”
“그래서 너는 뭐라고 했니?”
“선생님이 제 답변을 이해하지 못하신 거라고 했어요.”
“사랑한다.”
할아버지는 눈을 감은 채 가까스로 말한다.
71-72쪽
너무너무 예쁘다. 오고 가는 대화 속에서 손자를 바라보는 노인의 눈빛이, 노인을 올려다보는 손자의 얼굴이 빛이 난다. 그들 주변에 떠다니는 공기까지 향기롭다. 이렇게 아름답고 어여쁜 작별이라니.
노인은 아들마저 기억하지 못할 정도로 늙고 쇠약해지지만, 이야기는 그렇게 끝나지만 마음은 결코 슬픔에서 멈추지 않는다.
이렇게 아름답고 예쁜 작별의 기록은 내 삶에 나누어온 대화들, 내가 앞으로 마주해야 할 작별들을 좀더 가까이, 자세히 들여다보게 만든다.
내 작별의 세계도 저렇게 아름답기를.
내 작별의 기록들도 저토록 빛날 수 있기를.
"선생님께서 어른이 돼서 뭐가 되고 싶은지 쓰라고 하셨어요."
노아가 얘기한다.
"그래서 뭐라고 썼는데?"
"먼저 어린아이로 사는 데 집중하고 싶다고 썼어요."
"아주 훌륭한 답변이로구나."
"그렇죠? 저는 어른이 아니라 노인이 되고 싶어요. 어른들은 화만 내고, 웃는 건 어린애들이랑 노인들뿐이잖아요."
"그 얘기도 썼니?"
"네."
"선생님께서 뭐라고 하시던?"
"과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고 하셨어요."
"그래서 너는 뭐라고 했니?"
"선생님이 제 답변을 이해하지 못하신 거라고 했어요."
"사랑한다."
할아버지는 눈을 감은 채 가까스로 말한다.
71-72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