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늙어갈 용기 - 자유롭고 행복해질 용기를 부르는 아들러의 생로병사 심리학
기시미 이치로 지음, 노만수 옮김 / 에쎄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한창 인생의 여러 사안들에 대한 고민이 많던 작년 말 즈음, 우연히 들른 서점에서 제목만 보아도 힐링이 되는 듯 한 기분이라 사게 된 책이있다. 바로 ‘미움받을 용기’. 비록 실제로 읽기 까지는 그 후로 몇 달의 시간이 더 걸렸지만 아무튼 책장에 꽂아놓고 오다가다 책을 바라만 보아도 어쩐지 위로받는 느낌이었다. 아들러라는 이름은 그때 처음 알게 되었고, 뭔가 이리저리 꼬여 풀리지 않던 여러가지 일들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는 듯 하여 그 후로 아들러 심리학에 관한 다른 책들도 읽어보는 계기가 되었다.
이 책은 ‘자유롭고 행복해질 용기를 부르는 아들러의 생로병사 심리학’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데, 사실 꼭 늙어감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지 않다. 오히려 아들러의 심리학 책을 관통하는 공통적인 주제, 그 중에서도 ‘목적론’과 ‘과제의 분리’라는 주제는 개인적으로 ‘미움받을 용기’를 읽던 그때나 지금이나 여전히 가장 강하게 다가오는 내용이다.
목적론은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인을 만들어 내는 것을 얘기하는데, 예를들어 ‘무엇을 할 수 없다’라는 목적을 만들고, 그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으로 불안, 우울, 공포 같은 감정을 지어낸다는 것이다. 요즘도 수시로, 아주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개념이다. 어떤 일이 닥쳤을 때, 내가 지금 이걸 회피하고 싶어서 그럴듯한 이유를 찾아내고 있는건가? 하는 식으로 나 자신을 돌아보는 좋은 도구가 된다.
과제의 분리는 어떠한 선택이 가져온 결과를 최종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이 누구인지에 따라 자신의 과제와 타인의 과제를 분리하는 것을 말한다. 타인의 과제는 내가 개입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므로 자신의 과제에만 집중할 필요가 있다. 책에서는 ‘신뢰’와 관련된 부분을 얘기했는데, 신뢰란 조건을 달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배신할 지 안 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자신이 아니라 타자이므로, 타자가 배신하지 않는다면 나도 신뢰를 주겠다가 아닌, 내가 어떻게 할 것인가에만 주목하라는 것이다.
주변 사람들이 내가 이 책을 읽고 있는 것을 보고는 ‘늙어가는 데도 용기가 필요해?’ 라는 반응을 보였지만 사실 누구나 늙고 싶지 않은 마음이 있게 마련이라 실제로 그냥 아무렇게나 살며 늙어가는 대신, 나 자신을 추스르고 어떻게 늙어갈지를 염두에 두며 살고싶다.
예를들어, 질병에 관한 문제는 다른 인생의 과제처럼 용기있게 맞이해 응답하라고 얘기하는데, 이는 병이란 결국 자신과 신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로서, 질병으로 회복되었다 할지라도 이는 병이 들기 전 몸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만이 아니라 신체와의 새로운 관계에 들어서는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또 나이를 먹었다는 것은 ‘노력하지 않는 자신을 정당화하는 편리한 구실거리고 될 수 있다’고 지적한 것에는 정말이지 뜨끔했다. 올해 새로이 중국어를 공부하겠다고 덤벼들었는데, 역시 학생 때와는 달라, 단어가 외워지질 않는다니까 하며 포기한 것이 불과 얼마 전의 일이기 때문이다. 남들에게 뒤쳐지기는 싫고 뭔가 해야 할 것 같으니까 공부를 시작했지만 결국엔 하기 싫은 것이 진심이 아니었을까? 숨겨온 내 마음이 들킨 것 같아 부끄럽다.
마지막으로 삶을 살아가는 방법, 즉 라이프스타일과 그 선택에 관한 부분도 귀담아 들어야 할 부분이다. 인생의 의미는 자기가 자신에게 주는 것이며, 라이프스타일이라는 것은 자기 자신이 결정한다. 애초에 선천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고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라면 다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떤 재앙이 찾아 왔을 때 어떻게 맞설 것인지는 스스로 선택해야 하며, 나이듦은 허영심, 자만심, 명예욕을 내려놓는 용기의 여정이라고 얘기한다.
벌써 올해도 추석명절을 코앞에 두고 있다. 새해 계획을 세운 것이 얼마 전 같은데, 그러고 보면 시간이 제일 무서운 것 같다. 흘러가는 시간에 떠밀려 그냥 나이만 들어갈 것이 아니라, 어떻게 늙어가야 (정확히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에 대해 생각해보고 그에 따라 삶을 대하는 자세를 바꿔야 할 필요가 있겠다고 생각하며 읽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