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자크와 바느질하는 중국소녀
다이 시지에 지음, 이원희 옮김 / 현대문학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What`s done cannot be undone.˝ 맥베스 부인의 대사이던가. 지금 바로 내 심정이다. 방금 수많은 걸작들을 읽어버렸다. 그것도 단 몇 줄로. 너무 허망하다. ㅜㅜ 책의 중반부에 몽테크리스토 백작의 줄거리가 자세히 언급되었어도 별로 신경쓰지 않았다. 그 작품은 나도 벌써 읽었기 때문에. 그래 너도 그 책 재밌게 봤구나 했다. 그에 앞서 발자크 이야기도 오고갔지만, 작품 제목과 그들이 감명 깊게 본 부분만 따로 발췌해서 적어놨기 때문에 딱히 스포라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 오히려 빨리 읽어봐야지 하고 동기부여가 되었지. 하지만 막판에 가서 화자가, 자신과 뤄, 그리고 바느질하는 소녀가 사랑했던 수많은 문학속의 인물들을 회상하며 줄줄이 비엔나 소시지처럼 엮어낼 때에는 어째 좀 낭패를 본 기분이 들었다. 이건 책을 두고 재밌을까, 읽을까 말까,를 고민하던 중에 자발적으로 찾아 본 리뷰가 아니지 않은가. 그러나 이미 벌어진 일, 맥베스 부인의 말처럼 돌이킬 수 없으니 이건 그냥 그동안 문학 읽기를 너무 게을리 한 내 자업자득인 걸로. ㅠ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이야기는 마치 유행가 가사처럼 내 취향을 저격, 전에 빨간책방 스토너 2부 방송때 이동진님께서 지(知)에 대한 그 자체의 사랑(혹은 앎에 대한 사랑, 문학에 대한 사랑)으로 두 작품이 어찌 보면 서로 닮아 있는게 아닌가 하셨는데 내가 이들에게 꽂힌 이유도 바로 거기에 있다고 본다. 나는 모르는 것에 열등감이 많다. 모른다는 것은 왠지 부끄럽다. 그런 열등감은 자연스레 내 취향에 녹아 들었고 무의식중에 나는, 배움을 갈망하는 소설 속 인물들에 유난히 끌리게 됐다. 책도둑의 리젤, 해리포터 시리즈의 헤르미온느와 키다리 아저씨의 주디에 이르기까지 공부에 푹 빠진 이들을 보고 있으면 내 안에서도 덩달아 학구열이 불타오른다. 이건 굉장히 즐거운 일이다. 다시 소설로 돌아가서 이 발자크와 바느질하는 중국소녀의 배경은 중국의 문화대혁명이 시작된 직후인데 학창시절 중국 근현대사를 제대로 공부하지 않은 나는 그 역사적인 사건을 레드 바이올린이라는 영화에서 처음 접했다. 영화속의 한 중국인이 바이올린을 다락방에 숨기는 장면을 보면서 어째서 저러는 걸까 하고 의아해 하던 것이 기억난다. 마찬가지로 이 소설속의 인물들은 책을 숨긴다. 금지된 독서를 하고 문학과 사랑에 빠진다. 책도둑의 배경인 2차대전 당시의 독일에서도, 영화 이퀼리브리엄의 배경인 3차대전 이후의 가상세계 속에서도 문학을 사랑하고 지키려는 사람들이 언제나 존재했다는 사실에 마음이 애틋하다.

뜬금없지만 소설 앞부분에, 아침마다 똥지게를 지고 산을 오르는 소년들의 일상이 잠시 소개된다. 신나게 웃으면서 읽다가 문득 든 생각이, 앞으로 유기농 농산물 잘 씻어서 먹어야겠다.는 것이다.. ㅡㅡ;;

댓글(4)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갱지 2016-04-26 0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북깨비님 글은 솔직하고 따뜻해요-, 재밌게 읽고 갑니다 ;-).

북깨비 2016-04-26 09:12   좋아요 0 | URL
ㅠㅠㅠ 귀한 시간을 할애해서 두서없는 글을 읽어주시고 재밌었다고 칭찬까지 해주시니 몸 둘 바를 ㅠㅠㅠㅠ 저도 갱지님 리뷰 늘 재미나게 읽고 있어요!!! ^^

transient-guest 2016-04-27 03: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을 귀하게 구해서, 재미있게 여러 번 읽던 따뜻한 기억을 떠올리게 해준 책입니다. 어른이 되어 맘껏 책을 구하고 쟁여 놓은 기쁨에 반비례로 이런 즐거움을 자주 느끼지는 못하고 있는 점이 안타깝고, 부끄럽네요.ㅎ

북깨비 2016-04-27 12:51   좋아요 0 | URL
맘껏 사다가 쟁여 놓고 품절/절판된 도서만 가끔씩 귀하게 구하러 다니는 지금이 딱 좋은 것 같아요. ㅎㅎ 아아 가득찬 책장을 바라보는 그 흐뭇함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