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 - 기술 빅뱅이 뒤바꿀 일의 표준과 기회
대니얼 서스킨드 지음, 김정아 옮김 / 와이즈베리 / 2020년 3월
평점 :
경제트렌드를 큰 그림으로 생각해보게 하는 책.
경영경제도서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
AI를 위시한 기술진보로 인해 변화한 노동시장,
'인간의 노동'을 기계의 기술진보를 생각하며
그렇다면, 어떤 세계관을 가져야 할 것인가?
질문을 따라 돌아보게 하는 책이랍니다.
책은 <기술과 일의 역사>, <위협>, <대응>
기술과 일의 과거를 정리하여 알려주며
기술진보가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독자에게 지난 역사를 이해해주면서
그리하여 기술이 인간 경제사에 어떤 위협을 주고,
이에 인간이 대응해야할 방법, 하지만 그에 또한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까지 짚어보며 다각도로
큰 그림의 미래로 나아가는 세계 경제를 생각하게 됩니다.
기계의 기술진보는 인공지능까지 이르면서
인공지능이 인간과 같은 수준으로 사고하겠느냐는
문제에 대해 통상 인정하는 점이 있다면,
인공지능은 인간의 창조적인 영역을 넘보지 못한다고.
그리하여, 21세기 기술진보와 인간 노동력을 보며,
** ALM가설 (MIT 경제학자인 데이비드 오터,
프랭크 레비, 리차드 머레인의 주장)에 따라
'저숙련과 고숙련 노동의 고용률은 상승하지만
중간 숙련의 고용율은 감소하는 노동시장의 공동화' 현상에서
인공지능은 규격화된 성격의 업무라면 대체진입하나,
업무성격이 상황에 따라 판단이 필요하거나 창조적이라면
가능하지 않다고 하는 주장을 하게 되는데,
여러 경우가 넘어가며 '인공지능 착오'였음을.
그동안 우리가 철썩같이 믿었던 세계관을
수정해서 인공지능을 바라보아야 함을 알게됩니다.
<인공지능은 인간을 모방할 필요가 없다>
즉, 하향화로서 인공지능의 발전을 볼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개체로서 상향화하는 발전을 인정해야 합니다.
경제경영도서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는
기계의 기술진보에 관한 내용에서 시작하여,
결국 우리가 대부분 소비하는 '노동시간'을 살핍니다.
기술의 빅뱅이 일어나, 기계가 인간이 생각하는 것 이상
발전을 이뤄내고 있을 때, 이에 대해 노동시장에서
마찰적이든 구조적이든 '기술 실업'이 일어나게 됩니다.
수요와 공급 간의 불일치, 시간, 지리적 문제,
혹은 심지어 시장이 필요로하는 일과
노동자 자신의 가치관과의 차이로 인한 문제 등,
여러 상황에 의한 기술실업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심지어 향상된 생산력으로 '파이의 크기'가 커졌음에도
자원을 제대로 쓰는 이들과 아닌 이들간의 차이,
그리고 이 파이가 돌아가는 '불평등한 분배'의 문제가 생깁니다.
그렇다면 인간은 노동을 해야만 하나? 하는 근원적 질문,
왜 인간은 노동을 하려고 하나? 하는 가치관을 짚어보며
교육을 통해 필요한 기술을 채우는 것을 넘어,
삶의 철학을 되돌아보기도 조언받게 됩니다.
기술진보의 역사, 그리고 지금과 향후의 문제점.
그렇다면 대응은 어떻게 해야할 것인지를 살펴보며,
작은 기업들이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과거와 달리
오히려 대기업에서의 '자본력'에 기대는 방법도 있겠으나,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는 기계의 기술진보는 거스를 수 없으니
이로 보완받고 대체되는 안고가야하는 상황인 바,
그렇다면 인간들의 노동에 대해, 그리고 사회적으로
합리적 '부의 분배'에 대해 '정부'의 역할도 짚어봅니다.
부의 분배 자체만이 아닌
삶의 의미를 두고, 번영하는 삶의 진정한 의미를
정부가 도와주기를 희망하며 마무리를 하네요.
사회가 산업 발전을 이용해
궁극적으로 이루려는 목적은 무엇인가?
혁신과 풍요를 가장한 일의 미래.
기계의 기술진보로 인한 인간 노동의 변화,
그렇다면, 노동에서 삶을 찾기보다
근원적인 삶의 의미를 찾기를 독려하는 책.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는 경제경영도서이지만
우리가 처한 현실과 다가오는 미래에서
삶을 바라보는 가치관 방향을 다시 세우기를 권하는
은근 철학적인 도서이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