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엄마의 힘 - 작은 습관으로 기적을 만드는
안민정 지음 / 황소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 엄마의 힘

■ 작은 습관으로 기적을 만드는 일본교육



나라의 교육법에 관한 책들로 읽어보다보면,

각각 나라에서 장점들이 있다 싶습니다.

우리나라는 또 나름의 특징이 있고, 장점이 있기는 한데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일본 전반의 습관에 관한 교육은

우리나라에서도 꼭 생각해볼 문제다 싶었답니다.



저자는 중국인과 결혼한 한국 아내,

그리고 일본에서 아이 하나와 함께 세 식구가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세 나라를 모두 바라볼 수 있는 경험을 가졌더랍니다.

책 전반적으로 어느 한 쪽으로 기울지 않으려는 시각이 보이고,

기자생활을 했던 터라, 부담없이 읽을 수 있게 글도 잘 쓰여졌고요.

성인으로서도 '습관'이나 '예절'에 관해 돌아보게 하니,

꼭 부모가 아니더라도 읽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한국이나 중국에 비해, 일본 도쿄는 외국인도 많고 생활도 편리한 편.

다만, 일본은 일단 규칙에 대해서는 어쨌든 따라야 하는 것은 한국인에게는 조금 낯설어 보이기는 하더랍니다.

하지만 이러한 원칙을 모두 따른다는 것은 결국 기관에게 신뢰를 한다는 약속이고

또한 그에 맞게 보육원에서는 정성들여 아이를 맡아준답니다.

아이를 한 인격으로 교양있게 자라도록 하는 장기적인 목표가 있다는 점은 특히 우리들이 본받을 점이다 싶습니다.

서로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는 것은 결국 나 자신이 떳떳하겠다는 약속이니 말이죠.


아주 어릴때부터 자기 일을 맡아 스스로 하는 법을 연습시키는데,

못한다 하여 소리를 지르고 윽박지르지 않고,

꾸준히 설명하고 설득해서 그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도록 한다는 점.

아마 아이들이 어릴때부터의 습관이 그러하기에

독립적이면서 동시에 합리적인 습관을 키울 수 있으리 싶습니다.

어른이 되면서도 "어째서? 왜?" 라는 물음을 가지고 행동하겠지요.



물론, 보육원은 이러하지만,

일부 엄마는 화내지 않고 키우지 않기도 한다 하니..

그래서 일본은 오히려 보육원에 보내지 않으면 오히려 걱정을 하기도 한다 합니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일본은 우리보다 더 깔끔하게 집을 정리하고 엄마의 희생이 대단한가보다 생각했습니다만,

일반 가정에서는 적당한 선으로 정리를 한다고 하네요.

'희생'을 강요하지 않는 문화인터라, 서로 각자의 시간을 존중하고 

또한 엄마도 아이들에게 스스로 하도록 육아의 방향을 잡고,

꼭 해줘야 할 일들을 해주고 개인 시간을 보내곤 합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드는 노력은 당연히 해야한다고 생각하기에

아이들이나 가정에 대해 '희생'이라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죠.


또한 식사 준비도 거하게 하는 것이 아니고,

'시간 단축'을 중요시하고 낭비하는 것을 지양하기에

우리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엄마들의 피로가 더한 것 같다 싶습니다.

아무래도 엄마가 덜 힘들고 덜 피곤해야,

아이에 대해서도 더 넉넉해질 수 있겠지요.









'공부'에 대한 집착(?)은 우리나라는 조금 과도하다 싶지요.

분명 아이마다 잘하는 분야가 다른데도, 우리는 공부에서 해법을 찾고자 합니다.

물론 예전에 비해 요즘은 직업탐색의 시간을 권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대학진학에 대해서는 모두 몰려들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본의 경우, '시간 절약'이라는 습관이 전해져서일까요?

공부는 할 아이만 하고, 자기 분야를 찾아 직업을 일찍 찾는 것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입니다.

그리하여 명문학교 진학의 길도 우리나라에서는 말이 참 많아지겠다 싶은 방식이지만

사회적으로 물의를 빚지 않고 이어지고 있습니다.

'물 관리'라는 것은 면접 방식에 있어서 부모나 아이를 면접하며

내 자식만 중요하다 하는 극성 부모를 걸러내고

예의바른 아이를 합격시켜 교육하며,

초급 학교에서 뽑힌 아이는 고등 학교까지도 쉽게 이어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였더라면 어땠을까 싶습니다.

면접 하면서 부모 인성을 보는 방식에 대해서도 말이 참 많았을 것이고,

분명 신문에서도 귀족학교라며 자극적 기사 대상이 되었을 지 모릅니다.



내 자식만 귀하다며 경쟁적인 부모들이

아이를 또한 몰상식한 아이로 키운다 싶습니다.

그런데 그런 아이는 명문 학교 진학이 어렵다 하는 공감대.

예의를 중시하는 일본인터라 가능하고 

그리하여 사회가 서로에게 피해주지 않는다는 국민정서가 가능하지 싶네요.





일본에서의 육아에만 관한 책인가 싶었는데, 

기대보다 더 재밌게 읽을 수 있었던 책인 이유는

작가가 중국인과 결혼하고 일본에서 생활한 한국인이었다 싶습니다.

중국 상하이에 시댁이 있는 그녀는,

중국인들의 가족에 대한 애정과 조부모님들의 희생 등,

또한 중국에 관해서도 알려주고 있었습니다.


아이를 낳고 국적을 정하면서

중국교육을 받으려면 중국 국적으로 정했어야 했지만,

부부는 일본에 적을 두기로 했습니다.

한국이나 중국은 다문화 가정에 대해 일본보다 폐쇄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고

또한 교육열도 과열에 가깝다보니

아이가 인생을 스스로 선택하고 학창시절의 행복을 느끼기가 힘들다는 점이

부부가 일본에서 직장생활을 하는 이유와 더불어 작용했다고 합니다.

일본은 일단 한 인간이 사회 속에서 제 역할을 하는데 중심을 두고 있는 것 같습니다.

타인에게 피해주지 않고, 각 개인이 자신의 시간을 잘 꾸리도록

어릴때부터 어른들이 존중해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모든 학생이 같은 곳만을 바라봐야만 하는 교육환경, 어른들의 기대.

보다 큰 시각으로 아이들을 키워주어야겠다 싶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갱지 2016-01-08 11: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솔직히 제목만 봤을 땐, 일본인이랑 결혼한 한국인정도로 뻔한 얘기 늘어놓나 싶어 좀 거부감이 들었는데, 서로 다른 나라 사람끼리 누구의 적도 아닌 곳에서 삶을 꾸렸다는 것이 흥미롭네요.
궁금했었는데, 잘 읽고 갑니다-;-)

해피클라라 2016-01-10 20:56   좋아요 0 | URL
그쵸! 저도 단순히 일본교육인가.. 하고 읽어보게 되었는데,
세 나라를 두루 이야기해주는데, 경험이 많이 다른 환경이라 생각거리도 많고 재밌게 읽었네요 :D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