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의 심연 - 뇌과학자, 자신의 머릿속 사이코패스를 발견하다
제임스 팰런 지음, 김미선 옮김 / 더퀘스트 / 201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사이코패스를 연구하던 뇌과학자.

그 뇌과학자가 연구 중 알게 된 사실,

그도 사이코패스와 같은 뇌구조를 가졌다는 것.


이 사실만으로도 상당히 관심을 끌 구조의 책입니다.

그런데 이 책을 그러한 뇌과학이라는 분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이 책이 가지는 또 다른 큰 의의는

부모로서는 양육에 관해 의미부여를 한다는 것에 있습니다.





사회규범을 지키지 못한다.

사기성이 있다.

미리 계획을 세우지 못한다.

쉽게 흥분하며 공격적이다.

타인의 안전을 무시한다.

무책임하다.

자책할 줄 모른다.




위의 7가지 중 3가지 또는 그 이상 해당되면

사이코패스의 조건이라는 연구가 있습니다.

물론 뇌과학자 조차도 사실 이렇게 증상만으로 알아차리기는

쉽지않다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경향성이 있다고 하면

일단은 차분히 생각해볼 필요는 있지요.

우리는 사회 속에 속해 있으니 말이죠.






사이코 패스는 공감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생각이 됩니다.

이기적인 습성으로 인하여 내 목적 달성을 위해 공감능력은 발휘되지 않는데

이것은 뇌 발달상에 공감을 담당하는 부분의 역할이 원활히 돌아가지 않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뇌 발달에 있어서 임신4기에 이르는 후반기

스트레스 등, 어떠한 요인으로 뇌발달에 문제가 생기거나

혹은 태어난 직후 영향도 중요하다고 합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는 아이가 커가면서 기억을 하고

그 전에는 기억을 못한다 이야기를 들었건만

생각해보면 말을 하고 표현을 할 수 있을때 오히려 문제가 적고

아무것도 모를때의 양육경험이 상당히 중요할 수 있겠다 다시 생각을 고쳐봅니다.







그가 이야기하기를

사이코패스가 되는데는 세가지의 원인이 모두 작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안와전두피질과 편도체를 포함한 전측두엽의 유별난 저기능,

전사유전자로 대표되는 고위험 변이 유전자 여러 개,

어린 시절 초기의 감정적, 신체적 학대나 성적 학대



이 세가지가 모두 충족되고나면 반사회적인 사이코 패스가 되는 것이라 합니다.

그렇기 떄문에 부모된 입장으로 양육으로 아이를 안정화 한다면

사이코패스가 되는 문제를 줄여나갈 수 있겠지 싶습니다.







사이코패스 성향은 난적이라 치료를 해봐야 별다른 차도가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커가면서의 육아철학이 중요하다 생각이 듭니다.

사이코패스는 결국 자기만을 위해 살고,

목적을 위해 주변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록 저자는 사이코패스는 사회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주장을 하지만

그에 대해서는, 저는 물음표를 달아보기에.

사회 속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려면

다를 뿐이다 라고 이야기하며 타인에게 나쁜 기억을 주면서도 활력이 넘친다!?하며 정당화가 될 수 있을지.

활력으로 즐거움을 주니, 피해를 줘도 된다는 것?

그건 일단은 동의할 수 없는 결론이기는 합니다.




100% 공감을 보낼 수는 없는 책이지만

그럼에도 육아하는 부모의 입장으로서는

아이의 행동을 더 살펴보고 바른 육아시간을 가져야 할 것이며

동시에 책에서 사이코패스가 있으면 자극하지 말고

엮이지 말고 지나치라는 한 줄의 조언이 특히 와닿았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장소] 2015-03-29 0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한숨나와요.

해피클라라 2015-03-29 10:08   좋아요 1 | URL
사이코패스라는 단어가 좀 무겁죠 ㅠ
그래서 반사회적이 되지 않도록 부모가 신경써야겠구나 싶어졌어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