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엔 너야 비룡소의 그림동화 61
에른스트 얀들 지음, 노르만 융에 그림, 박상순 옮김 / 비룡소 / 200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른이고 아이를 막론하고 병원에 대해 좋았던 기억을 가진이는 많지 않을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개인적으로, 병원..그리고..불안..초조..기다림.. 그런 기분에 대한 이야기를 하자면 특히 치과에 대한 기억이 더욱 그랬던 것 같습니다. 분명 치료하러 들어갔다가 나온 사람은 치료를 받았기에 호전된 모습으로 나오는건 맞지만 치료를 받기위해 기다리는 사람은 적잖은 공포였지요. 아프지는 않을까?.. 분명 아플거야.., 다 나을까?.. 꼭 이런 맘이 아니라도 막연한 그 불안감. 그것을 이 동화책에선 한 두군데가 고장나 치료 받으려고 대기하고 있는 장난감들의 심리로 그대로 대변해 줍니다.

문이 열리고 하나(치료 받은 무당벌레 장난감)가 나오고, 또 하나(팔 하나가 부러진 오리)가 들어가고(물론 치료받으러), 문이 닫기고 나머지 장난감들. 의자에 앉아있는 굳은 표정들이라니.. 캄캄한 대기실에 불하나 달랑. 그 음산한 기분하며...

모두 자신의 순서를 거부하고 싶지만 의연한 척.. 그러나 또하나 들어갔다 나오고 또하나 들어갔다 나오고.. 마지막에 앉아있던 코가 부러진 나무 인형은 아마도 오랜 기다림과 함께 극심한 불안감 탓인지 눈물 한 방울... “다음엔 너야” 스스로 마음을 다잡아 보려고 하는 독백이지만 왠지 불안한 마음은 어쩔수 없나 봅니다.

“저기 들어가면 다른 장난감처럼 부러진 곳을 고칠텐데 왜 저렇게 울어요?” 내 딸은 투덜투덜입니다. 도저히 왜 찔끔거리는지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얼굴로...

짧은글과 간단한 그림이지만 그런 기다림에 관한 한 사람의 심리를 정확히도 꼬집어낸 책임에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까마귀네 빵집
가코 사토시 글 그림, 아기장수의 날개 옮김 / 고슴도치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빵 이름은 뭐야?' 제 아이는 책 한 가득 채워진 갖가지 빵을 짚어가며 열심히 물었더랬습니다. 빵이라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는 제 딸의 행복해 할 모습을 상상하며 얼른 구입한 책입니다.

역시나 처음엔 내용엔 관심이 없고, 책속의 빼곡한 다양한 모양의 그 빵들을 몇날 몇일 코를 박고 먹어(?) 댔습니다. 빵이름은 지겹도록 물어본것은 말할 것도 없고요. 그로부터 석달이 지난 지금, 아이는 가족애가 물씬 묻어나는 까마귀네 빵집 이야기를 맨날 읽어 달라고 아우성 입니다. 사실 책을 읽다보면 쌉싸름 하고도 고소한 그 살짝 탄 빵냄새가 정말이지 솔솔 배여나오는 것 같거든요.

이책의 보는 재미라면 흥미있는 이야기도 이야기지만, 떼를 지어 까마득하게 몰려드는 까마귀들의 다양한 차림새를 구경하는것이고요.. 또, 이름 붙이기 나름인 많고도 많은 빵 구경하는 것도 빠뜨릴 수 없지요..

삐뽀삐뽀~ 비상이다! 하며 불나게 잘 팔리는 까마귀네 빵가게로 얼른 달려가면 지금이라도 열심히 빵을 만들어 팔고 있는 사랑스런 까마귀네 가족을 만날것만 같은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물극장 쁘띠 이마주 8
베네딕트 게티에 글 그림, 최영선 옮김 / 중앙출판사(중앙미디어) / 2002년 5월
평점 :
절판


책에 아이얼굴 크기 만한 구멍이 있다면, 그걸로 재미난 연극을 한다면... 퍽이나 흥미로운 책이 아닐수 없겠지요. 그야말로 이 책은 책 제목처럼 아이가 얼굴을 책속에 갖다 대고 다앙한 표정의 돼지도 되고, 개도, 오리도, 닭도, 양도, 소도 되는 동물극장인 셈 입니다. 책의 활용에 있어, 대상연령을 찾자면 단순한 글 내용(스토리와는 무관한 평면적 구성이므로)과 그림으로 봐선 돌이후의 아이에게도 적합하겠고, 책을 통해 실제로 아이가 동물이 되어, 글의 내용에서 한층 업그레이드하여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어 해볼수 있는 역할놀이극의 책이라고 여겨지기에 만 4살이후도 적합하리라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티치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111
팻 허친즈 지음, 박현철 옮김 / 시공주니어 / 199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에게 가장크고, 조금크고, 작고.. 하는 비교 개념을 쉽게 보여주려고 구입한 책입니다만, 실은 그런 목적으로 산 제 의도가 참 무색할 정도로 티치라는 아이의 작고 소중한 마음씨가 책엔 있었더랬습니다.

작은, 아주 작은 티치는 늘 하는일도 느리고, 작고 서툽니다. 큰 자전거를 타는 언니 오빠보다 작은 자전거를 타고, 거기다 꾸물거리지만요, 높게높게 연을 날리는 언니 오빠에 비해 티치의 것은 턱없이 작은 고작 바람개비였지만요, 깔보기라도 하듯 북과 트럼펫을 부는 언니 오빠에 비해 나무피리를 열심히 부는 티치지만요, 그러나 실은 티치가 가져다 심은 씨앗이 자라고 자란 그 큰 나무처럼, 지금 당장이 아닌, 앞으로의 시간을 준비할 줄 아는 티치의 순수함이 언니 오빠의 그 어떤 자만보다 감히 훌륭함을 새삼 보여주는 것이 아닐런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콧구멍 이야기 과학은 내친구 10
야규 겐이치로 글 그림, 예상열 옮김 / 한림출판사 / 200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에게 재밌는 과학이야기 하나 보여주고 싶어 구입했지만, 실은 제가 더 신나게 본 책입니다. 장난기가 가미된 책 속에는 차마 몰랐던 새로운 사실들이 여럿 배치되어 있더군요. 그것은 돌고래의 콧구멍이 하나라는 놀라운 사실. 거기다 그게 머리위에 있다니..(앗, 저만 몰랐나요?~)

콧구멍이 막히면‘나냐 너녀 마먀 머며’를 말하기가 어렵다네요. 코를 잡고 직접해보는 것이지요. 후후.. 과학은 이렇게 재밌어야 하는거라는걸 실감합니다. 코딱지는 먼지 덩어리. 그 더러운 코딱지를 바둑알처럼 반듯하고 이쁘게 정렬해두는 저자의 의도는.. 그럼으로써 다시 한번 과학적 사실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거고요.

간혹 그림마다 소위 “애드립(?)“같은 글들이 무시로 등장해 통제불능(?) 이지만 그게 이 책의 더할나위 없는 묘미라면 묘미같습니다. 지금은 그런말들을 때에따라 대략 생략하고 아이에게 읽어주지만, 과학적 현상들에 관심이 생길 유치원 연령의 수준이 되면 킥킥거리며 재밌게 볼 그런책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