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상한 시절이지만 올 해도 어김없이 녹색의 명징함과 그것의 부산물들로 풍요로운 여름이다. 하지만 요즘 날씨로 보면 초여름 없이 본격 여름으로 간 격이다. 날이 좀 성급하다.
오디주 담기(6월 6일)
오디는 노화를 방지하고 고혈압에 좋으며 귀와 눈을 밝게 하는 등 엄청난 효능의 뽕나무 열매이다. 집 한켠에 아담한 뽕나무가 있는데 조금 줍고, 따서 이번에는 술을 담아보았다.
왜뽕과 조선뽕이 있다고 하는데 거개가 왜뽕이고, 이것이 생명력이 왕성해서 그래도 곳곳에 흔하게 있다. 요즘은 재배도 많이 한다.

하수오주 담기(6월 8일)
하수오는 특히 흰머리를 검게하고 여자들에게 좋탄다. 이건 완전히 무슨 만병통치약 수준이다. 약간의 부작용이 있으니 법제를 잘해야 하고 한꺼번에 많이 먹으면 안된다고 한다. 쌀뜨물에 담고 쪄내는 과정을 거쳐 술에 담가놓았다. 이것은 매우 고맙게도 어떤 분이 준것이다. 그분 복 많이 받으시라.

하수오는 덩굴성식물로 그 뿌리를 주로 이용한다. 꼭 고구마 비숫하게 생겼다. 몇 년이상 커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기다려야 할 듯, 왼쪽의 하수오는 십 여년 정도 된거라는 말씀이 있었고, 오른쪽은 집에서 키우는 것으로 심은지 2년 정도 되었다.
걸러낸 오미자에 두 번째 술 담기(6월 12일)

오미자도 굳이 부연하면 전체적으로 기를 보해주는 열매이다. 한마디로 자양강장제이다. 다섯가지 맛이 난다고 하는데 그 열매를 씹어보면 그야말로 오묘하다. 아, 침넘어가...
작년가을에 담아놓았던 오미자를 걸러내고 남은 것에다 술을 부어놓은 것이다. 그냥 버리기도 아깝고 대부분 이렇게 술에 담궈 먹기도 한다는데 욕심이 조금 과해서 재탕을 하고 있다.
이것으로 한 철 먹을 술은 장만이 끝났다. 앞으로 술은 돈주고 안산다.
이로써 우리는 불로장생의 갖은 영약을 구비하였으나 삼천갑자는 언감생심이고 최소한 두 갑자는 살지 않을까 싶다. 아, 꿈의 120살이다. 근데 너무 오래살아도 문제다. 특히 벽에다 응가칠 하고 그러면 심히 걱정은 된다.
약초관련 책들이 판형및 편집을 달리해서 많다. 아무래도 환경에 대한 관심이 그런쪽으로도 미쳤다고 보지만 뭐든지 남발하는 것은 좋지않아 보인다. 과한것이 부족한것만 못하다는 것은 자명한 이치이다. 자연이 언제까지 인간을 보듬어 줄까? 우리의 경험은 그렇치 않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거늘... 실제 시골서 농사짓는 사람들은 그것이 직업이 아닌 이상 산에가서 약초등을 캐다 이용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대부분이 도시 사람들이 그렇게 하는거 같은데 하여튼 과하면 안좋다.
각 식물의 효능 등은 이 책을 참조했다.
그리고,
감자를 일부 수확했다. 애기 주먹만한 것과 조림용 크기가 반반씩이다. 나머지 집안팎으로 심었던 고추,상추,토마토,가지,취나물,곤드레,오이,수세미,들깨,옥수수 등을 다른곳으로 옮겨심었다. 왜 옮겨심었냐하면 이사를 가야 한다.
작년가을께부터 물의 량이 줄더니 얼마전부터는 물이 거의 안나온다. 지하수가 고갈된듯 한데, 지하수를 또 파자니 주위에 영향을 끼칠까 저어되고 상수도는 요원하다. 마침 다른쪽에 조그마한 땅을 장만했다. 아직 집을 짓기에는 여러모로 턱없이 부족하니(특히 화폐)일단 근처의 집을 빌렸다.
시골에서 물문제, 특히 지하수 문제는 심각하다. 법적으로 규정은 하고 있지만 잘지켜지지 않고 그러므로 너도나도 시도때도없이 파제끼는 형국이다. 상수도 시설이 안들어 온 지역은 한편 이해가 되기도 하지만 그래도 고려할 사항(이웃에게 미칠 영향 등)은 전혀 지켜지지 않는것 같다.
우리가 살고 있는 곳도 그동안 물이 잘 나온 편이었는데 앞집에서 지하수를 판 후부터 현저히 물량이 부족해지기 시작했다. 아마 물을 빼앗긴게 아닌가 하는 것이 전문가의 진단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도 냉큼 지하수를 파버리면 앞집. 옆집이 어떻게 될러나 가늠하기 힘들다. 그리고 비용도 만만찮다.
여하튼 이사가서는 물을 좀 아끼고 특히, 빗물을(지하수도 결국 빗물인데)활용하는 방법을 적극활용해 볼 요량이다. 그전에도 커다란 독에 빗물을 받아 허드렛물로 사용하긴 했는데 더 좋은 방법이 있으면 실천해볼 예정이다.
이사 준비의 첫 단계로 책을 처리해야 하는데 어찌 할까 고민 중이다, 묶느냐, 싸느냐, 지난 책은 과감히 버리느냐, 고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