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3계단 - 제47회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작 ㅣ 밀리언셀러 클럽 29
다카노 가즈아키 지음 / 황금가지 / 2005년 12월
평점 :
사람이 심판을 할 수 있는 것 일까 ?
어떤 자격으로든 남의 목숨을 생명을 앗아갈 자격이 있을까?
교도관 난고.
우연하게 교도관이 되었지만 사형집행으로 2명의 죽음에 관여한 이후
잠을 제대로 이룰 수 없다.
사형수의 목숨을 대가로 지키려 했던 가정은 무너져 가고.
사형수의 원죄를 밝힌다. 그를 위한 조사원을 무명의 변호사가 구하고 있다.
난고는 이야말로 자신이 할 일이라고 생각했다.
교도관을 관두고 빵집을 하겠다는 소망을 지닌다. 다시 가정을 되찾겠노라고
이 일이 해결되면...
『 나는 사람을 죽였다.
튀어나온 두 눈과 낙하의 충격으로 15센티미터 정도 쭉 늘어난 목.
그 처참한 현실에 그가 믿었던 정의는 아무런 답변도 해 주지 않았다 』
형법이 그 강제력으로 지키려는 정의는 어쩌면 불공정한 것이 아닐까?
사람이 사람을 정의라는 이름하에 심판하려 할 때 그 정의에는 보편적인 기준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미카미 준이치.
상해치사 혐의로 복역하고 나왔다. 나와 보니 자기를 기다리고 있는 현실은
엄청난 빚더미에서 고생하시는 부모님의 모습 뿐.
그 빚들이 다 자신을 위한 합의금. 처량하고 안쓰러운 부모님의 모습..
그런 그에게 기회가 왔다. 난고가 찾아왔다. 사형수의 무죄를 밝히는 일이라며
무죄를 밝힐 경우 보수가 높다고 ..
단지 걸리는 일이 있다면 그 사건이 자신이 사고를 낸 10년 전 치바 현
나카미나토 군에서 일어났다는 것. 이건 우연일까?
사카키바라의 료는 살인범인가. 아님 무죄인가? 시간은 없다.
그가 죄가 없다면 증거를 찾아야 한다. 거액의 현상금이 걸려있다.
기억을 잃은 료는 자신이 저지른 죄를 모른다.
사건 당시 기억을 잃은 료에게 어렴풋이 기억나게 한 ‘13계단’이라는 단서.
사카키바라 료의 무죄를 증명하기 위해 변호사 스기우라 , 교도관 난고 , 그리고 거기에
추가 투입된 준이치는 조사를 시작한다.
굉장히 흡인력있는 책이다. 막판에는 정말 숨이 가쁘게 읽어 내려갔다.
초조한 마음을 안고 . 진짜 범인은 누구지?
결말은 참담했다... 진짜 범인을 찾게 된 것보다 더 기분이 오싹했다.
“남을 죽이면 사형이 된다는 것 정도는 초등학생들도 알고 있잖나
중요한 건 그 부분이야. 죄의 내용과 그에 대한 벌은 사전에 모든 사람에게 알려진 상태야.
그런데 사형당하는 놈들이란, 잡히면 사형이라는 것을 뻔히 알면서 굳이 저지른 일행들이야. 이해가 되나, 이 뜻이? 그러니까 놈들은 누군가를 죽인 단계에서 스스로를 사형대로
몰아넣는 거야. 잡히고 나서 울고 불고 해 봤자, 이미 늦어.
왜 그런 바보들이 끊임없이 나타나는 걸까? 그 따위 놈들이 없어지면 제도가 있으나
없으나 사형은 시행되지 않잖아. 사형 제도를 유지시키는 것은 국민도 국가도 아닌 남을
마구 죽이고 다니는 범죄자 본인이야."
법이란 건.
인간의 인권과 권리, 자유를 존중하기 위해 규정해놓은 일종의 규칙이 아니었던가.
결국 인간을 위해 만든 것인데. 그 법이란 것이 어느 순간 인간 위에 서 있다.
형벌이 강할 수록 재범은 없어야 하지만 ,오히려 재범은 줄지 않는다. 아니 늘어난다.
모순덩어리. 그것이 옳다 그르다의 문제를 떠나 언제든 그 문제는
누구에게는 이롭게도, 누구에게는 해를 끼치게 되는 것.
“당신의 평생에 걸친 죄, 전능하신 하느님을 거역한 것을 회개합니까?”
“네”
“나는 너의 죄를 사하노라.”
그 신의 말씀을 듣고 난고는 머리를 맞은 기분이었다.
160번이 범한 죄를 신은 용서했으나 인간은 용서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