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고 우공비 초등 과학 자습서 3-2 (2016년) 초등 신사고 우공비 자습서 (2016년)
신사고초등콘텐츠연구회 지음 / 좋은책신사고 / 201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2학기가 드뎌 시작되었네요!

<3학년 2학기 '과학공부'>

카카오프렌즈와 함께하는 '우공비 자습서' 로 시작해요!

이번 학기에 처음으로 우공비 자습서로 공부하면서

자습서 매력에 푹 빠졌는데요.

잠시 후 우공비 자습서의 매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도록 할게요~~


소윤양과는 집에서 엄마표로 2학기는 공부하기로 했기 때문에

대략적인 학습량을 정해 보았는데요.


<1주일 학습량>


국어,사회,과학 - 주3회 공부

(월:국/사 화:사/과 수:과/국 목:국/사 금:과학)

대략적인 시간표이구요. 못한 건 주말에 보충으로 마무리!!

수학 및 연산교재 - 주5회 공부 



과학은 4단원까지 있는데요.

기본적으로 한 달에 1단원씩 진도를 나가는 걸로 계획을 짰구요.

그렇게 단원별로 묶으면 공부해야 할 양을 한 눈에 알 수 있답니다.





1회 학습량은 우공비 자습서에서 제공되는 '공부계획표'를 참고하면 딱 적당해요.


'우공비 자습서'의 장점



1. '교과서 완전 학습'이 가능해요

2. 학교시험 완벽 대비가 가능해요.



'우공비 자습서'는 교과서를 전과 형식으로 그대로 반영하고 있어서 학교 교과서로는 어떻게 배우게 되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서 참 많은 도움이 되더라구요.

일일이 교과서를 확인하면서 문제집으로 공부하기는 힘든데

자습서 한 권에서 교과서 미리보기와 문제집 역할까지 모두 가능하니 정말 감동이네요.




그리고, 한 번 공부할 학습량도 2장 정도라 학습량도 딱 적당하더라구요.



학습주제와 학습목표만 잘 알고 있으면 핵심을 찾기가 참 쉬워져요!



1단원. 1번째 주제는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동물을 찾아 관찰하여 봅시다'


<학습목표>

- 우리 주변에 여러가지 동물이 함께 살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러 가지 동물을 관찰하고 특징을 말할 수 있다.



 



학교 주변 동물을 관찰할 때 대표적인 관찰 장소는 3군데로 정리되더라구요.


나무,풀,꽃에서 볼 수 있는 동물

화단, 돌을 들추면 볼 수 있는 동물

물 웅덩이에서 볼 수 있는 동물


이렇게 3개로 나눠서 동물을 정리하면 문제없구요.

또, 동물의 특징과 사는 곳에 대해 처음엔 읽어보게하고

나중에는 직접 '거미의 특징과 사는 곳에 대해 말해보자'라고 아이가 정확히 동물에 대해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왜냐하면, 아래 사진에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과학교과서 <실험관찰>에

'동물이름 + 장소 + 생김새, 특징'을 적어야하는 부분이 있답니다.


'주변에서 잘 볼 수 없는 까닭'에 대해서도 꼭 확인하고 넘어가야겠지요


 




확실히 <실험관찰> 교과서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공부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마음가짐이 다른 것 같더라구요.

우공비 자습서의 매력을 여기서 확인하게 되었답니다.


 


3페이지에 걸친 학습주제에 대한 공부 및 교과서 미리보기를 끝내고

기본이자 대표적 유형의 <기본 평가>를 풀어보면 오늘의 학습은 끝나게 됩니다.

학습량이 정말 딱이더라구요!!


 


기본개념 문제는 맞췄나, 틀렸나 결과에 초점을 맞추지는 않고 오늘 학습목표와 얼마나

잘 매치가 되었나? 위주로 확인하면 더 재미있고 복습하는 마음으로 풀 수 있답니다.



1번 문제의 경우 '꽃등에'는 앞의 내용에서 보지는 않아서 낯설었는데요.

이 참에 '꽃등에'에 대해 찾아보기도 했어요(꽃등에는 벌처럼 생겼지만 침은 없다고 나오더라구요)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동물이구요.

잠자리 애벌레는 물웅덩이에 사는 동물이라는 점을 잘 정리하고 넘어가면 된답니다.


 





대충 풀기보다는 <보기>를 하나 하나 꼼꼼하게 체크하면서 푸는 게 좋은 것 같아요.

그러면서 복습도 하게 되구요.



 


<기본 평가> - <실력 평가> - <단원 평가> - <서술형 평가>순으로 학습할 수 있어

학교 시험 대비로도 문제없어요.


 

'단원이 끝날 때'는 <단원 개념 정리>가 있으니 단원 정리 할 때 확인하면 좋을 것 같아요.





 

<실험 관찰>도 '확인하기' 문제의 정답과 자세한 풀이를 제공해요.

기초 - 발전 - 심화 3단계가 있답니다.




2학기는 1학기에 비해 참 짧게 느껴져요~

9월에도 추석을 보내고 나면 후딱 지나버리고

10월, 11월을 지나고 12월 초 기말고사를 치르면

어느새 학기가 마무리 되는 어수선한 2학기...

방학 중 착실히 예습을 해 놓았다면 상관없겠지만

학기와 함께 예습,복습을 시작한다면

한 눈 팔지 않고 부지런히 학습해야겠어요~



우리아이 과학공부는 우공비 자습서가 딱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