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속에 핀 꽃들 - 우리가 사랑한 문학 문학이 사랑한 꽃이야기
김민철 지음 / 샘터사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연한 봄의 계절이다.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 화단에도 예쁜 꽃들이 만개해서 봄이 왔음을 알린다. 늘 지나다니면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았는데 정작 꽃 이름에는 별 관심이 없었드랬다. '꽃봉우리가 맺혔네?' '곧 꽃이 피겠구나!', '와! 예쁘다!'가 꽃에 대한 관심의 표현이었다. 딸 아이 친구가 엄마와 길을 지나다 '엄마, 이 꽃 이름이 뭐야?'라며 관심어린 질문을 하였다. 이어 엄마가 '응, 철쭉이라고 해!' 순간 부끄러웠다. 아 늘 들어오던 철쭉이 바로 이 꽃이었구나~ 아차 싶었다. 그리곤 자세히 들여다보니 정말 철쭉이 맞는 듯 했다. 민들레, 개나리, 장미, 튤립이나 철쭉이나 꼭 학교에서 배워서 아는 꽃 이름은 아닐터이다. 그저 살아가면서 자연스레 깨치게 되는 것들이 있다. 바로 꽃 이름이나 나무, 풀 이름들도 그러할 것이다.

 

그 일이 있고 얼마 후, 의도하지 않게도 [문학 속에 핀 꽃들]을 읽게 되었다. 야생화라하면 어떤 기준으로 정의를 내린 꽃들을 가리키는지 나는 잘 알지 못했다. 야외에서 자연과 더불어 자생하며 살아가는 꽃이라 표현하면 되려나?정도가 나만의 야생화 기준이다. 궁금한 차에 '야생화' 세 글자를 검색해 보았다. 얼추 비슷하게 유추하긴 하였다.

 

'야생화 : 들에 절로 피는 꽃'

 

내가 [문학 속에 핀 꽃들]이란 이 책을 읽고 싶어한 이유는 다음과 같은 책 소개글을 보고서였다.

 

- 한국 소설을 '야생화'라는 관점으로 접근한 유일한 책이다.

-시대를 넘나들며 독자들에게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33개 작품을 '꽃'이라는 공통분모로 이야기한다.

 

나에게는 스스로에게 창피하리만치 읽은 책, 보았던 영화 스토리를 잘 기억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읽는 순간에는 정말 재미있게 감동적으로 보았던 내용들도 뒤돌아서면 주인공 이름 조차도 떠오르지가 않아 대략난감 할 때도 많아요. 그러다보니 [문학 속에 핀 꽃들]에서 만나는 수 많은 작품 중 읽었던 책들도 다시금 새롭게만 다가오기도 하네요. 저가가 선정한 시대를 넘나들며 독자들에게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작품.. 과연 어떤 작품이 실려있을까요? 동백꽃,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마당을 나온 암탉, 오세암, 은교, 봄봄, 소나기, 봉순이 언니, 엄마를 부탁해, 칼의 노래, 허수아비춤, 토지, 태백산맥, 내 젊은 날의 숲... 내가 읽었던 책들을 나열해보았는데 아직 읽어보지 못한 작품들이 더 많은 듯 하다. 이 많은 작품 속에서 저자에게는 야생화가 그저 스쳐지나가는 이름으로만 지나지 않고 작품과의 연관성으로 접근했다니 대단하지 않을 수 없다. 저자가 에필로그에 적었듯 황순원의 '소나기' 작품에 소년이 소녀에게 노란 양산을 닮은 '마타리꽃'을 꺾어주는 장면이 나온다고 하지만 나 또한 전혀 기억이 나질 않는다. 나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이들이 위의 내용을 기억하지 못할 정도로 긴 본문 속의 스쳐지나는 한 줄의 글귀에 불과할 수 있을 법한 내용을 저자는 작품 속에서 의미를 부여시키는 묘한 재주가 있음이 틀림없다.

 

[문학 속에 핀 꽃들]을 읽으면서 대표로 소개하고 픈 야생화 및 소설은 박범신의 <은교>와 쇠별꽃이다. <은교>에서 만나게 되는 꽃은 작은 별처럼 생겼다하여 쇠별꽃이라 불리우는 꽃이다. 쇠별꽃은 주인공 은교의 모습과 비교하고 있기에 제법 <은교> 작품을 떠올릴 때 기억할 만한 야생화가 아닐까 싶다. 또, 영화에서의 <은교>에는 소설에서 빠져있는 갈등을 조장하는 에피소드 몇 몇이 빠져있기에 이로 인해 스토리가 순탄치 않다고 저자가 설명함을 볼 때, 소설로 꼭 한 번 더 읽오보고픈 작품이기도 하다. 쇠별꽃은 5-6월에 전국 어디서든 흔히 볼 수 있는 꽃이라니 시기 또한 제격이다. 꽃잎이 다섯 장이지만 갈라져 있어 마치 열 장의 꽃잎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쇠별꽃... 실제로 보면 몇 센티미터나 되려나 싶을 만큼 자그마하고 하얀 꽃이다.

 

<쇠별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