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의 눈물 샘깊은 오늘고전 12
나만갑 지음, 양대원 그림, 유타루 글 / 알마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처음 접한 순간 과연 남한산성에선 무슨 슬픈일이 있었길래 제목조차도 [남한산성의 눈물]이라 지었을까? 궁금하였다. 곧이어 이 책은 나만갑의 병자록을 골자로  병자호란 당시의 소중한 기록이 함께하는 책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병자호란의 그 시작과 끝, 그리고 남한산성의 안팎을 일들을 낱낱이 보고 남긴 병자호란 57일간의 생생한 일지 내용이 이 책 속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학창시절 국사 교과서에서 함께 할 수 없었던 병자호란을 인조의 측근에서 지켜보던 나만갑에 의해서 진솔하게 쓰여지고 있다. 전쟁당시 왕과 조정에서는 무슨일들이 있었는지 그 주변상황을 생생히 알 수 있어서 기록이란 것이 대단한 것임을 다시 한 번 실감하게 하였다. 책을 읽기전 '병자호란' 이야기를 소상히 들을 수 있음에 설레고 기쁜 마음이었지만, 막상 책장을 넘기면 넘길 수록 비참함과  부끄러움이 더 컸다. 이제껏 부끄러운 역사를 이다지도 자세하게 접할 수 있는 책은 없었다. 하지만, 부끄러운 역사도 우리의 역사임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잘 이끌어 왔던 그렇지 않던 역사는 흘러간다. 

<줄거리소개>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나만갑은 인조와 함께 남한산성으로 들어갑니다. 구원병도 없는 성에는 한 달 치 양식이 전부입니다. 높은 벼슬아치들은 항복을 하네, 마네 저희끼리 싸우는데 백성과 병사들은 싸우기도 전에 얼어 죽을 판이고 병사들이 오히려 반란을 일으켜 성문을 열고 나갈 기세입니다. 이윽고 들려온 강화도 함락 소식에 인조와 벼슬아치들은 밖으로 나갑니다. 그리고 인조는 청나라 황제에게 세 번 절하고 아홉 번 조아리는 항복 의식을 치릅니다. 백성들에게는 어떤 고난이 더 남았을까요.

어찌보면 서로 의견대립에 맞서 조용할 날이 없는 지금 우리 국회의 모습과 병자호란 당시 적화론과 주화론을 펼치는 이들 역시 크게 다를바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 400여년의 시간이 흘러도 국정을 이끄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조선시대는 왕의 권력이 지배적이어서 전쟁시에도 왕의 권력이 좌지우지 할 줄 알았는데 막상 [남한산성의 눈물]을 보면 왕의 권력이 생각만큼 크게 좌우하지 않음에 의아하였다. 그리고, 충신보다는 이기주의적이며 몸을 사리는 많은 이들을 지켜보며 안타까움을 이루말할 수 없었다. 그동안 보지 못한 음지의 모습을 발견하며 참으로 가슴 아팠다.

자랑스럽게 생각해오던 역사 앞에 명나라와 청나라의 끌려다니는 모습들이 참으로 부끄럽기 짝이 없다. 우리 오천년 역사를 살펴보아도  유독 조선에 이르러서는 국력이 약해짐을 느낀다. 특히 국방의 힘에서 더욱 그러한데, '병자호란' 은 이를 대변하는 대표적인 역사적 사건인지도 모르겠다. 

저자의 말처럼 우리는 참혹한 전쟁을 모른 척 덮어두려 하지말고 이제는 실패의 교훈을 얻을 수 있는 지혜로움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그렇기에 부끄러운 역사라 할지라도 정확히 알고 넘어가야 한다는 생각에 동의한다. [남한산성의 눈물]은 결코 자랑스런 역사이야기는 아니지만 그래도 읽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각 장이 끝날때 마다 나레이션처럼 잔잔하게 풀어내는 [다듬어 쓴 이의 말]은 혼란과 실망에 빠진 나에게 머릿속으로 생각을 정리하고 가다듬기에 좋은 시간이 되었다. 이 책은 [역사바로보기]란 명목으로 꼭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