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피어나다 피어라 우리 문화 1
강익중 외 지음, 이수진 그림 / 해와나무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글은 세계적으로도 과학적이고 독창성있는 언어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렇듯 한글의 가치는 이미 세계적으로 인정 받아 유네스코는 1977년에 한글을 세계 기록 문화 유산으로 지정했습니다. 더불어 '세종 대왕 상'을 만들어서 문맴 퇴치에 공이 큰 사람에게 시상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한글은 세종대왕 위인전에서 세종대왕의 업적 가운데 하나 정도로만 알고 있었습니다. 세종대왕의 주체로 한글의 업적 중 하나로 소개되하지만, [한글 피어나다]에서는 반대로 한글이 주체가 되었다는 점이 다른 책들과는 다른 점이었습니다.

 

[1부-우리민족과 인류의 자랑, 한글]에서는 한글이 만들어진 원리를 비롯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소개한다.

[2부-한글이 피어나는 자리]에서는 충정도 해미현의 새내기 관졸, 박만득 / 태종의 셋째 아들이자 조선의 네 번째 임금,세종대왕/ 집현전의 똑똘한 학자, 세종 대왕이 무척 아끼던 신하, 최만리/ 집현전 대제학. <훈민정음해례>를 만들 때 우두머리, 정인지/ 세종의 둘째 아들. 나중에 조선의 7대 임금인 세조가 된, 수양 대군/ 세종 대왕 시절, 궁궐에 산던 아기나인, 곱단이/ 조선 중종 임금 시절의 한 농부, 동쇠/ 조선 말기의 국어학자이자 독립 운동가, 주시경/ 한글을 무척 사랑하고 아끼는 한글 박사, 김한글 등 9편의 단편 이야기를 들려주며, 한글의 필요성과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드는 과정, 그리고, 한글이 실용화되는 과정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2부는 책 내용의 2/3이상을 차지할 만큼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또한, 이야기 속에서 그 동안 체계적으로 알지 못했던 한글 발전 과정이 담겨져 있기에 한마디로 뜻 깊은 책이었다. 초등 눈높이에 맞춰어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로 한글에 대해 소개하고 있으며, 세종대왕께서 당뇨병을 앎으면서도 살아 생전 백성들을 위하여 훈민정음을 보급하기 위해 얼마나 필사적으로 애를 쓰셨는지.. 백성들을 향한 진정한 사랑이 느껴졌다. 훈민정음이 만들어진 이후부터는 모든 낮은 별슬의 관리를 뽑을 때 <훈민정음해례>로 먼저 시험을 치게 하여 훈민정음을 보다 빨리 퍼뜨리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용비어천가>의 탄생에 관한 이야기와 소현왕후가 돌아가신 후 아들 수양대군에게 시켜 돌아가신 어머니의 명복도 빌고, 새로 만든 훈민정음을 널리 퍼뜨리는 방안으로 석가모니 부처의 생애에 관한 기록을 적은 책 <석보상절(석가모니의 생애를 상세하면서도 간결하게 쓴 책이라는 뜻)>을  완성하기에 이른다. 이어 세종대왕은 <월인천강지곡> 책을 완성한 이야기, 궁중 여인들이 남긴 아름다운 한글 작품, <계축일기>, <인현왕후전>, <한중록>을 소개하며, 궁중여인이 훈민정음을 익히고,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양반, 농부 함께 읽는 조선의 명작들 <관동별곡>, <홍길동전>, <어부사시사>, <농가월령가>, <춘향전>을 소개한다. <농가월령가>는 초등5학년 사회교과서에도 그 내용이 수록되어져 있으며, 기타 앞에서 소개한 책 들은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도 모두 나오는 중요한 책들이기에 이 책은 한글을 이해하는 시간에서 나아가 학과 공부에도 분명 도움이 되는 책이다. 이어 마지막 황제 고종이 1894년 11월 21일, 국문을 한자 대신 공식적인 나라글자로 인정하는 이야기와 <독립신문>이라는 한글신문 발간, 이어 우리나라 첫 국어문법 책 <대한국어문법> 완성에 관한 이야기 등 한글의 탄생부터 실용화되기까지의 기록을 고스란히 [한글 피어나다]에서 소개한다.

 

[3부- 한글, 날개를 펴고 날아오르다]에서는 한글을 창의적인 예술로 표현하는 주인공들을 만나본다. 설치미술가,강익중 / 민체 연구가, 캘리그래퍼, 여태명 / 캘리그래퍼 이상현 / 한양대학교 생활체육학과교수, 무용학회 회장, 이숙재 / 도예가, 전성근 / 전각예술가,정병례(반기문 UN총장의 직인을 제작하였다.) 한글을 예술로 승화시킨 6인을 소개한다.

 

훈민정음의 탄생은 한반도 5000년 역사 중 고작 몇 백년 전에 탄생한 이야기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국문으로 채택된 것 또한, 고종에 이르러 공포되었으니 그리 오래전 일은 아니라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된다.  [한글 피어나다]를 읽으면서 한글을 더욱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더욱 가치있게 보존하는 것이 후손들의 몫임을 느끼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