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랑 치타가 달려간다 - 2009 제3회 블루픽션상 수상작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40
박선희 지음 / 비룡소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랑 치타가 달려간다>는 청소년소설이지만 전혀 소설같지 않은 이야기였다. 우리나라 청소년 이야기가 현실감있게 펼쳐진다. 비행청소년 같아 보이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결코 비행청소년이 아니었다. 내가 바라보는 그들은 그랬다. 가정환경이나 주위의 환경이 그들을 비행청소년 스럽게 만들어 간다는 생각이 든 책이었다. 다시 말하면 이 책은 우리나라의 사회문제, 교육환경에 관한 이야기, 그리고 가정환경을 종합적으로 보여준 책이었다. 
 

<줄거리>
앞으로도 나아질 건 없다고 말하는 고등학교 1학년 강호, 학교 어느 구석에서 조용히 있다가 조용히 사라지는 것, 그게 스무 살이 되기 전 바라는 단 한 가지라고 말하는 도윤. 초등학교 6학년 때 절친한 친구였지만 강호는 전교 5짱 안에 들며 일찌감치 불량아로 낙인찍히고, 도윤은 외고에 입학해 똑같은 공정을 거쳐 최상품으로 만들어지기 직전 일반고로 ‘전락한다.’ 이 둘이 4년 만에 한 교실에서 재회하게 되고, 각자 1인칭 시점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교차로 풀어놓는다. 둘은 회색빛으로 가득 찬 서로의 현실을 조금씩 공감하면서 교내 ‘밴드부 결성’이라는 공통분모를 찾아낸다. ‘파랑 치타’는 강호가 타는 파란색 오토바이 이름이면서 동시에 이들의 에너지가 똘똘 뭉쳐진 록밴드의 이름이기도 하다. 쿨한 에너지로 가득한 싱그러움, 희망적이지 않은 미래지만 그렇다고 포기하지도 않겠다는 간절함이 되살린 두 주인공의 열정과, 그 주변을 둘러싼 주위 인물들의 절절함이 이야기 속에 감동적으로 펼쳐진다.
 

너무 현실같은 이야기지만 내가 겪지는 않은 이야기, 하지만 눈에 그대로 그려지고 보여지는 듯한 이야기였다. 가정형편이 어렵다, 공부를 못한다의 주강호와 가정형편이 괜찮다, 공부를 잘한다의 이도윤. 겉으로 보기엔 주강호는 문제아, 이도윤은 모범생 같지만 도윤은 강호의 자신만만한 행동과 성격을 부러워하고, 어머니가 제시한 스케쥴에 이끌려 마치 기계처럼 행동하는 자신에서 벗어나 점차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제목 속 파랑치타는 강호의 파랑 오토바이 이름이기도 하거니와, 밴드부의 이름이기도 하다. 이 이야기에서 뚜렷한 결말은 없다. 하지만, 생각해 볼 문제는 반드시 있다. 청소년 시기엔 무엇보다 사랑과 관심, 격려의 말, 그리고 뭔가 자율적인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이끌어주면 정신적으로도 건강한 청소년기를 거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역할을 하고 있는 사람이 바로 김세욱 선생님이다. 누구에게 차별없이 관심으로 대하고, 밴드부 결성에도 큰 도움을 준다. 그리고, 밴드부가 해체된 후에도 밴드 연습실을 마련해주는 등 아이들 입장을 잘 이해하며 도움을 주신다. 

우리는 흔히 시간에 비유하며 아이들에게 공부만을 강조하고 있지는 않은가? 아이들에게도 숨 쉴 여유가, 자신만의 취미생활을 할 여유가 주어진다면 도윤이 말 한 바와 같이 공부에 대한 의욕이 더 높아질 수도 있지 않을까? 과외와 학원에서 정답의 노하우를 배우는 것보다 자신의 자아를 찾고 행복을 느낄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도윤이 형 역시 어머니가 원하는 대로 엘리트 코스를 밟고 있지만, 대학교에 입학하고서야 자신이 허수아비였음을 인식하게 된다. 대학에서는 시험을 위한 학원도 과외도 없기에 자신의 대학교 학점은 형편없다는 것이다. 스스로 뭔가 할 수 없음을 느낀 절망감이 그대로 묻어나는 장면이 떠오른다.

우리나라의 바뀌어지지 않는 교육 현실은 예나 지금이나 그대로이다. <파랑 치타가 달려간다>를 통해 부모와 자녀간에도 타협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사랑과 관심, 격려만으로도 자녀들은 생각보다도 더 훌륭하게 자랄 수 있다는 생각을 다시한 번 확인시켜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