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사회를 위해서는 대안교육이라는 밑거름이 함께 수반되어야 한다. 우리는 지난 시절, 80년대를 마감하면서 민주주의라는 이름을 한국 현대정치사에 문제제기하며 전교조라는 씨를 함께 뿌렸다. 그리고는 20년이 더 지났다. 그런데 전교조는 어떤 상황인가? 여전히 위기이고, 여전히 일방적으로 돌팔매질을 당하고 있다. 전교조의 일선 교사들과 지도부 모두가 학교 현장의 문제들이 산적한 상황에서 교육의 문제를 현장의 상황에서 절박하게 풀어가지 못한 안일함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내 듣기로는 평교사들은 이해집단으로 전교조를 택하는 이들이 부지기수고, 지도부는 정치적으로 편향되고 돌출된 행보를 보였다.  

그러다가 정권이 바뀌고 교육 현장의 상황이 급격하게 악화되는 상황에서 전교조의 이름은 별 울림이 없거나 이 정권의 각색에 의해 정치색만 남고 온갖 부정적인 회칠을 당하고 있다. 다시 처음부터라는 심정으로 시작해야 할 것이다. 전교조 지도부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나로서는 알 수 없지만 나대로의 답답함과 관심으로 이런 리스트를 만들어 본다. 

  

 

 

 

 

 

 

           

 

 

 

 

 

 

  

어느 순간부터 우리나라 공교육의 대안으로 뜬 핀란드 교육은 물론 공부법에 대해서 이미 많은 책들이 있지만 대표적인 핀란드 교육에 대한 두 권의 책이다. 하지만 얼마 전 MBC 스페셜을 통해서 본 남한산초등학교 사례는 우리 땅에 교육 혁명이 가능하다는 것을 뚜렷하게 알려줬다는 점에서 첫번째 책으로 꼽고 싶었다. 

그리고 대안 교육에 대해서 이야기하자면 조한혜정 선생과 <하자 센터>를 빼 놓고 생각할 수 없는 것 같다. 그 공간은 학교와 정책이 만나 이룰 수 있는 가장 긍정적인 사례를 낳은 것 같다. 수많은 교육 활동가들, 자기 길을 창조하는 청년들을 배출했다. 조한혜정 선생의 하자센터의 결과물과 그 영향관계 속에 있는 책들을 몇 권 꼽았다.  

  

 

 

 

 

 

 

대안교육의 또 다른 사례가 있다. 부산의 소위 부자 동네 작은 서점에서 시작된 책읽기와 글쓰기가 생각과 삶의 문제로 옮겨가 보기 드문 실천의 장을 만들었다. 그런데 이들은 매우 소수이면서 매우 거창해서 대안교육의 사례로 볼 것인가가 약간 고민스러웠다. 유명하다고 주류는 아니지만 인디고서원의 드러난 행보는 이름난 이들과의 교류로 채워져왔다(최근 출간된 인디고잉의 국제판 표지를 보라). 나는 일선 학교에서 하지 않거나 할 수 없는 유명학자들과의 인터뷰와 만남을 갖는 것을 대안적인 사례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본다. 우리는 그들과 꼭 만나지 못하더라도 책을 통해 얼마든지 그들과 교류할 수 있고, 그러한 교류만으로 어떤 대안을 만들었다고 말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안교육의 사례를 넓은 범주에서 학교 안팎의 모든 새로운 교육적 시도와 실천이라고 한다면 인디고 서원의 이야기도 분명 대안교육의 범주 안에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인디고 서원의 아이들(이라고 하기에는 이제 모두 나이가 많지만)은 공교육(중고등은 물론 대학교육)에서 만들지 못하는 어떤 삶의 길을 만들고 있고 우리사회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분명해 보이니까. 하지만 그들이 어디로 가는 지는 좀 더 지켜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