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인생을 이모작하라 - 생물학자가 진단하는 2020년 초고령 사회 SERI 연구에세이 18
최재천 지음 / 삼성경제연구소 / 2005년 3월
평점 :
절판


예전에 '늙으면 죽어야지'라는 소리를 입에 달고 사는 노인들을 종종 보았다. 그저 그런 말이려니 하면서 지냈는데, 어느덧 나도 이 말을 내뱉게 되는 시기가 다가오는구나 생각하곤 한다.

 

나이 때문일까, 요즘 인생 후반기를 주제로 하는 책들이 자주 눈에 띈다. 이 책도 그런 주제의 하나다. 나는 이런 책들-일종의 자기개발서는 우연히 읽는 게 아니라면 구입할 의향이 전혀 없다. 왜냐? 인생의 답이 있을까마는 (있던지 없던지) 책이 내 인생을 개발해줄 것은 별로 없기 때문이다. 자극을 받을 수는 있겠지만...

 

사회생활에 찌들리면 의욕을 잃는 게 보통인가? 난 가끔 (사지도 않으면서) 로또에 당첨되어 편안하게 노후를 보내는 꿈을 꾼다. 하지만 그저 꿈일 뿐 실현될 현실이 아니다. 그저 상상-공상할 뿐.

 

힘을 잃은 중년-장년에게 필요한 것은 힐링일까? 좋은 단어겠지만, 요즘 개나 소나 어디서나 힐링을 외치는 바람에 난 뭘 말하는지 이해가 안된다. 게다가 새파랗게 젊은이들이 앞장서서 힐링을 찾고 있으니...

 

홀로살이.

어차피 세상에 나를 대신해서 인생을 살아가는 존재는 없다.

특히 마지막을 향해 가는 사람들에게는...

그래서 이 책의 제목

흐르는대로 허무하게 끝을 기다리는 대신 [무엇]을 새로 시작하자는 주문에 공감한다.

물론 [무엇]은 스스로 찾아야겠지만.

 

인생을 근시안으로 보는 대신 조금 더 길게 보는 연습이 필요할 듯하다.

그런 면에서 아직은 덜 늙은 젊은이들을 위한 책이 아닐까 싶다.

그러나 이래저래 답은 없으니 답안지가 필요한 사람은 다른 곳을 살펴보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