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화의 거짓말 - 명화로 읽는 매혹의 그리스 신화 ㅣ 명화의 거짓말
나카노 교코 지음, 이연식 옮김 / 북폴리오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그리스 로마신화는 별로 아는 게 없고, 흥미도 없다. 게다가 미술은 더 그렇다. 그런데, 어쩌다 보니 (그럴듯한?) 미술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은 이유가 등장했다. 이것은 마치 강요된 운명과도 같은 것이지만, 어느 정도의 자발성이 유발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미술에 전혀 관심도 없고, 재주도 없고, 아는 것도 없고, 알고자 하는 것도 없었으나, 내 주변에 미술로 먹고살겠다는 인물이 나타났기에 기본기를 갖추어야 할 필요가 생겼다.
이 책은 제목과 표지에서 미술에 대한 무지-무시-문외한의 시선을 끄는데 성공했다. 표지는 벌거벗은 여인이 뒷모습을 보인 채 어떤 남자와 진하게 포옹하는 장면을 내세우고 있다. 젊은이의 호기심을 끄는데 성공하는 순간이다. 호기심을 갖고 자세히 관찰하려는 독자/감상자에게는 잔잔하게 흐르는 배경음악이 필요하다. 여기에 바로 그리스 로마신화 혹은 이야기 거리가 필요한 것이다. 이미 그런 내용을 잘 알고 있다면 모르겠으나, 평범한 수준이라면 그림을 어떻게 읽는지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저자가 제시하는 그림 읽는 방법은 [너무 주눅들 필요 없다]가 아닐까? 보통 사람들은 [명화]라는 명칭에 휘둘려서 고상하고 엄숙하게 그림을 대하는 경향이 있으나, 사실 그림은 당시에 광범위하게 퍼진 소설같은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이라고 봐도 될 듯하다. 그러니 그림을 볼 때, [그림이 비싸거나 보물같아서 스스로 위축되어 공경하는 마음을 같는 것은 명화의 거짓말에 속는 것]이다. 곧 이야기 책을 읽듯이 대하는 게 정석이라는 메세지 아닐까 싶다.
그렇다면 그림을 어떻게 읽으라는 것일까? 자꾸 보면서 이야기를 수집하고 맥주에 안주삼아 농을 나누는 것도 방법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