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디킨스의 ‘올리버 트위스트’는 부제목 ‘교구 소년의 성장’을 봐서도 잘 알 수 있듯이 구빈원에서 태어나자마자 고아가 된 올리버가 자신을 학대하는 구빈원 관리와 일하던 장의사로부터 도망쳐 런던에 도착해서 우여곡절 끝에 여러 사람의 도움을 받아 건강을 회복하고 교육받으며 신체적 정신적으로 성숙하는 내용을 다루는 성장 소설이다. ‘올리버 트위스트’는 올리버 자신이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범죄행위에 가담하였으며, 그를 둘러싼 많은 범죄자의 생활이 세밀하게 묘사되고 있으므로 범죄 소설로 읽힐 수도 있다.

‘올리버 트위스트’에 등장하는 인물은 모두 실존 인물을 모델로 기반하였으며 범죄 행각 또한 자료에 근거한다. 대략적인 줄거리 정도가 허구일 뿐이지 소설 대부분을 차지하는 배경 묘사를 포함한 대부분의 서술은 모두 사실에 근거한 자료를 토대로 한 것이다. 많은 런던 시민은 야심한 시간이나 새벽에 자료를 모으기 위해서 런던의 뒷골목을 배회하는 디킨스를 목격할 수 있었다. 그는 현실을 적나라하게 표현함으로써 하층민에 대한 배려와 지원 정책을 영국 사회에 요구한 것이다. 작가 개인의 상상력에 기반한 묘사보다 역사적 사실은 훨씬 더 큰 설득력과 공감을 얻기 마련이다.

오늘날 독자들은 런던의 소매치기들이 왜 그토록 자주 손수건을 훔치는지 의아할지도 모른다. 코 묻은 손수건이 무슨 가치가 있어서 훈련까지 해가면서 손수건에 탐닉하는지 현대 독자들은 이해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런 손수건 소매치기 또한 찰스 디킨스가 얼마나 사실에 집착했는지를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18~19세기 영국 사회의 신사와 숙녀들에게 손수건은 요즘처럼 값싼 물건이 아니라 대부분 비단 소재의 수공예로 만든 아름답고 정교한 수를 놓은 제법 비싼 필수품이었다. 당시 런던 시민에게 손수건은 요즘으로 치면 스마트폰과 같은 기능을 수행했다. 이를테면 손수건을 건네주는 것은 미안하다는 뜻이었으며, 손수건을 접은 것은 상대에게 말을 하라는 표시였고, 손수건을 자기 어깨 위에 걸치는 것은 상대에게 자신을 따라오라는 신호였다.

공공장소에서 자신의 감정을 적나라하게 표현하는 것을 꺼렸던 빅토리아 시대 여성들은 손수건을 통해서 자기 의사를 표현했다. 말하자면 당시 여성들에게 손수건은 스마트폰으로 보내는 문자메시지였다. 또 아무래도 지갑이나 다른 귀중품보다 신경을 덜 썼기 때문에 다른 물건보다 위험부담이 없이 쉽게 훔칠 수 있기도 했다. 한 마디로 당시 영국에서 손수건은 훔치기 쉬웠고, 훔치고 나서 숨기기도 쉬웠으며 팔기도 쉬운 물건이었다. 작고 가벼우며 비싼데다 추적하기 어려운 손수건 소매치기는 얼마나 매력적인 사업이었겠는가?

고전은 과거에 대한 배경지식이 필요하므로 읽기 어렵다고 한다. 그러나 고전소설 속 세밀한 지식을 파헤치는 재미도 있기 마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