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인과 여우 ㅣ 세계의 걸작 그림책 지크 50
한성옥 그림, 팀 마이어스 글, 김서정 옮김 / 보림 / 2001년 12월
평점 :
요즘은 이메일을 보냈다가 수신확인이안되면 발송취소란 버튼을 누른다. 결국 내 맘에 안드는 글이라 챙피해서 지우곤 하는데 두려움을 이기고 글쓰기를 하고 싶어졌다 . 멋있는 3편의 하이쿠가 나오는 "시인과 여우"는 일본의 전설적인 시인 바쇼의 시에 미국인 작가의 상상력과 한국인 작가의 그림이 어우러진 예쁜 책이다. 우선 사계절이 뚜렷한 그림이 마음에 든다. 애들에게 읽혀주기엔 글자수가 좀 많지만 나름대로 재미있다. 내용은 시를 잘 짓는 바쇼라는 시인이 잘 때 시인들에게 영감을 줬다는 엉뚱하고 까다로운 여우를 만나면서 시작된다. 시라면 자신있던 바쇼는 여우 맘에 드는 하이쿠를 짓기로 맘을 먹는다. 그런데 한달여의 기간 동안 시는 잘 떠오르지 않아 될대로 되라는 심정으로 막 떠오른 시를 여우에게 말했다. 여우는 좀 쓰네라며 새끼 여우들도 그 정도는 쓴다며 한 번 더 지어보라구 한다. 이번엔 침착하게 바쇼는 한달동안 공을 들이지만 그 정도는 약하다며 여우는 마지막으로 기회를 한번 더 준다 . 참을성을 갖고 계절이 바뀌도록 여우는 자기 맘에 드는 시를 기다리는데... 반전이 재밌다. 그토록 여우 맘에 든 시는 단지 하나 "여우"가 들어 있어서라나...사람과 동물이 평화롭게 빨간 버찌를 먹는 장면이 예쁜 액자속에 담겨져 있다.
내가 좋아하는 단어는 무얼까?
우리 아기는 기저귀 갈때 몸부림치다가도 곰 세마리란 노래를 들려주면 눈을 맞추며 좋아라 한다. 속마음을 잘 보여주지 않던 냉랭한 그이에게 좋아하는 단어로 시를 보내면 어떨까? 이게 뭐냐고 빈정 맞는거 아냐, 친정 엄마가 옆에서 유기농딸기를 간식으로 주셨다. 갑자기 떠오르는 영감( 흥분^^~)
꿀벌은 잉잉
옹기종기 꽃밭에
빨간 딸기향
아! 제목만 거창하고 내용은 빈약해서 퍼온글을 좀 채우고 갑니다. 휘리릭~
[네이버에서 퍼온글]
하이쿠(俳句)는 5,7,5의 음수율을 지닌 17자로 된 일본의 짧은 정형시를 일컫는 말이다. 하이쿠는 세계에서 그 유래를 보기 드문 짧은 시로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대중시로서 확고한 자리를 잡고 있다. 전통적인 하이쿠는 계절을 상징하는 계어(季語)가 필히 있어야 하며 짧은 시의 형태인 만큼 한꺼번에 읽어 내려가는 것을 막기 위해 기레지(切字)라는 것이 필수조건이다. 계어는 계절을 상징하는 시어를 가리키는 말로, 특정한 계절을 환기시키면서 오랜 일본시가의 흐름 속에서 형성된 미의식을 함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일본도 4계절이 확실하다는 것을 자랑으로 삼고 있다. 이 특징을 정형시의 필수요건으로 삼았다는 점을 통하여 일본인에게 있어 4계절이 얼마나 소중한 것이었나를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다. 계절을 상징하는 계어는 시대의 변천과 더불어 새롭게 만들어지기도 하며, 새로운 상징어를 작품에 적용하기 위해 해마다 새로운 세시기(歲時記)가 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세시기하면 연말연시의 연중행사를 지칭하는 말로 이해하기 쉬우나 일본의 세시기는 동식물, 기후, 풍토, 연중생사등의 계절을 상징하는 모든 언어를 망라한 것을 일컫는 말로, 하이쿠 창작의 기본 교과서가 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