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방법론 - 제13판
Earl R. Babbie 지음, 고성호 외 10명 옮김 / Cengage Learning / 201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사회조사분석사 시험 준비를 하면서, 사회과학대학에 재학하면서도 막상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공부해 본 적이 없다는 사실에 부끄러움을 느끼고, 시험 준비와 관계 없이 사회조사방법론 관련 책은 한 권 꼭 정독하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본 끝에, 홍두승 교수님 책과 이 책을 권하는 사람들이 많았고, 일단 이 책을 먼저 읽게 되었습니다. 책이 전체적으로 직접 연구를 수행하려는 사람에게 유용한 조언을 하는 방식으로 집필되었다는 소개를 들었을 때는 감이 잘 안 왔는데, 한 번 정독하고 보니, 매우 적절한 소개문구라는 생각이 듭니다. 질적 연구든, 양적 연구든, 어떤 방식의 연구를 기획하든, 실제로 연구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꼭 알아야 할 내용들이 빠짐 없이 들어가 있습니다.

 

수험서로서 이 책을 생각하시는 분들은 '사회 통계' 카테고리의 내용은 단지 어떠어떠한 분석 기법이 있다는 정도로만 간단하게 언급하고, 연습문제나 예제, 각종 검정 방법의 공식 등은 대부분 생략되어 있어서 다소 부족하다고 생각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도 이 부분은 아쉽지만, 저자가 양적 연구에 편중된 경향에 스스로 문제제기를 하고 있으며 이 책이 어디까지나 입문 혹은 개론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는 다른 책으로 충분히 보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반대로, 기본에 충실하기보다는 사회과학에서의 통계학적 방법론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나와 있는 책들도 많겠지요). 다음에 읽어 볼 홍두승 교수님 공저한 책만 해도, 이 부분에 대해 훨씬 많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을 예전에 읽었다면 수업에서든지, 개인적 관심에서 비롯된 것이든지 간단한 사회과학적 연구를 할 때 좀 더 신중하게 고려하고,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았을 것이라는 아쉬움도 들지만, 지금에서라도 이 책을 만나게 되어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주변에도 충분히 권할 만한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1-03-14 02: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blue923 2021-03-14 03:07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꽤 오래 전에 쓴 글인데 찾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족 분이 반드시 최신판 (혹은 13판)이 필요하신 경우가 아니라면 내용 측면에서는 이런 책의 경우 구 버전도 공부하는 데 큰 문제가 없습니다. 아쉽게도 제가 현재 스웨덴에서 박사과정 공부 중이라 한국을 떠난 지 꽤 오래 되어서 책을 직접 살펴보고 도움을 드리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첨언하자면 수험 공부가 아니라 대학 과정 혹은 그 이후 과정 공부를 위해서 책을 읽어보신다면 원서를 구하시는 방법도 추천해드립니다. 이 분야의 적지 않은 용어/개념은 영어로 읽을 때 그 의미가 더 직관적으로 와닿는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