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 사라지는 사회 - 한국의 디지털 아노미 현상
이정춘 지음 / 청림출판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더 이상 '이것이 디지털 미디어'라는 것을 지적하는 것이 의미 없을 만큼 디지털 미디어가 보편화 된 이후, 수 많은 '디지털 비관론'과 '디지털 낙관론'이 쏟아져 나왔다. 이 책도 '한국의 디지털 아노미 현상'이라는 부제를 들고 나온만큼 어느 정도는 디지털 비관론의 입장에서 논의를 전개하는, 한국 사회의 변화가 우려스러운 미디어 학자의 시선이 담긴 책이라고 할 수 있겠다. 책의 첫 부분은 다소 몰입감 있게 읽었던 것 같은데, 뒤로 갈수록 그냥 저자의 한국 사회에 대한 이런 저런 촌평이 담겨 있을 뿐, '생각이 사라지는 사회' 라든지, '디지털 아노미'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모아 놓은 것이라는 말에는 동의하기 힘들었다.

 

물론 저자의 오랜 독일 유학 경험에서 나오는 한국 사회와 독일 사회의 비교 부분에서 한국 사회의 부끄러운 단면을 많이 접할 수 있었고, 책이 최신판인만큼 세월호 참사라든지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 같은 최근의 시사 이슈를 접목한 한국 사회에 대한 분석은 흥미로웠다. 하지만 이 책에서 솔직히 필자가 '새로 얻은' 내용은 많지 않은 것 같다. 어디선가 본 것 같은 논의들만이 반복되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5부의 '아버지 없이 살다' 장에 나오는 저자의 가족에 대한 시선은 다소 낡은 것처럼 느껴지기까지 했다('결손가정'에 대한 언급에서 불편함이 정점을 찍었다). 독일과 한국 사회의 비교 부분도 옥석을 굳이 가리자면 '선진국은 이런데, 한국은 아직 멀었다' 식의 지루한 논의가 반복되는 부분도 분명 존재했다. 저자가 독일에서 오랜 기간 공부했으니 그 준거집단이 단지 독일일 뿐.

 

물론 이런 류의 담론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는 필자보다 좀 더 이 책이 값진 것으로 다가올 수 있겠지만, 디지털 낙관론이나 비관론에 대해 좀 더 깊게 탐구하고자 한다면, 저자가 인용하는 슈피처 교수나 니콜라스 카의 책을 직접 읽어보고, 같은 맥락에서 매클루언의 글도 읽어보고, 이 문제를 정치경제학적 시각에서 좀 더 신선하게 정리한 <<디지털 디스커넥트>>라는 책을 대신 추천하고 싶다(물론 이 책에 관해서, 저자의 정치적 입장이 뚜렷하기에 독자들이 동의하지 않을 수 있겠지만, 그런 부분을 차치하더라도, 디지털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들에 대한 정리 부분도 더 잘 되어 있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