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택이라는 이데올로기
레나타 살레츨 지음, 박광호 옮김 / 후마니타스 / 2014년 9월
평점 :
자신이 정말 좋아하는 분야(그것이 책이거나 헤드폰이거나 자동차이거나 큰 상관은 없다) 앞에서도 '선택'의 문제 때문에 즐거운 고민이 아닌 스트레스를 경험한다면, 그것은 우리의 감정에 무언가 문제가 생겼거나, 그 상황 자체가 문제인 것은 아닐까? 얼마 전부터 필자는 필자가 호기심을 가질만한 수 많은 물건들 앞에서, 심지어 그것들 중 하나를 골라서 살 경제적 여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 순간 주저하며 좌절감까지 맛본 뒤에 이런 생각을 해왔다. 이런 필자의 생각에 명쾌하게 답을 준 책이 바로 이 책이라고 생각한다.
독재는 '악'이라는 믿음이 굳어진 우리 세대에게 인격이 없지만 한층 무서운 '선택의 독재'는 어떨까? 선택이라는 단어는 언제나 자유와 함께 따라왔기 때문에 선택지 또한 언제나 다다익선이라고 받아들여졌지만, 그것이 환상적일 경우 이야기는 달라진다. 후기 자본주의사회의 소비자의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선택지는 절대로 무한하지 않으며, 사실 매우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언제나 '모든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믿어야만 이 사회의 모순에 눈을 돌리며 무언가 잘못되어도 선택하는 주체가 책임져야 한다는 논리가 합리화된다. 그리고 나아가 자칫 잘못된 선택으로 인생을 그르칠까봐 도박과도 같은 사회 변혁이나 혁명은 꿈도 꿀 수 없게 되어 버렸다. 이것이 -조금의 비약은 있겠지만- 현대인들의 모습이자, 그 중 특히 기대 이상으로 무기력하다는 이야기를 들어온 청년들의 초상이다.
물론 선택 없는 삶이란 없다. 우리는 결국 이러한 '선택의 독재'를 벗어나기 위해서도 상황을 제대로 직시하고 변화를 일으킬 진짜 방법을 찾기 위해서 또 다른 결단을 내려야만 한다. 이것이 본래 의미대로 '자유'와 연관된 선택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종류의 선택지는 그 동안 너무나도 눈에 띄지 않은 채 어딘가에 조용히 숨어서 빛을 바래왔던 것 같다. 저자가 라캉철학에 조예가 깊은 만큼 선택의 문제를 설명할 때도 라캉의 개념을 많이 빌려와 이에 생소한 사람들은 내용 중 일부가 어렵게 느껴질지도 모르겠지만 결국 핵심은 진정한 자유를 위한 선택을 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스스로에게 되묻는 곳에 있다고 믿는다. 필자도 선택의 스트레스 앞에서 가지고 있는 자원이 사실상 '무한한' 지경에 이르는 것이 유일하게 스트레스에서 해방되는 길은 아닐지라고 생각하며 난처했던 적이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그것이 아니라 아에 '다른 게임'을 하는 것이 더 낫겠다는 생각을 한다. 선택 앞에서는 좌절할 수밖에 없음을 깨닫고 정말로 하나뿐인 삶을 위해서 더 나은 선택을 해보자는 20대 초입의 열망으로 돌아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