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 게바라 평전 역사 인물 찾기 29
장 코르미에 지음, 김미선 옮김 / 실천문학사 / 200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르헨티나, 쿠바등 체 게바라는 신화적 혁명가로 추앙받는다. 불가능한 꿈을 이룬자로써, 흔한 게바라라는 이름에 `체`가 붙으면 그 흔한 이름이 신화속의 거대 신적존재로 탈바꿈 한다. 하지만 체 게바라는 두개의 얼굴을 지녔었다. 하나는 체 게바라로서의 혁명가, 또 하나는 에르네스토 게바라로서의 휴머니스트. 혁명가가 지녀야 할 냉철하고 딱딱한 모습에 반하여 인간적이고 따뜻한 휴머니스트의 모습을 모두 지닌 게바라는 가히 신화적 인물로 떠받들어도 손색이 없을 지경이다. 체에서 에르네스토, 에르네스토에서 체로의 전환은 환골탈태쯤?

체는 열정적이었다. 자기가 맡은 일은 무엇이든 철저하게 처리했고 자기가 일을 맡게 되기 기다리기보다는 능동적으로 일을 찾아서 처리했다. 그의 열정을 보여주듯 이 책의 겉표지는 `빠알갛`다. 그의 그 열정적이고 능동적인 모습은 비록 시대는 다르지만 혈기왕성한 젊은 층들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무엇이든 도전해보려고 하는 자세. 비록 현실에 충실하더라도 그 현실을 벗어난 꿈을 하나씩은 가져보려는 자세는 수동적인것을 거부하며 현실에 안주하기 보다는 보다 큰 꿈을 가지는 것에, 평범한 삶보다는 극적인 삶, 흔히 말하는 `대박`을 터뜨리는 삶에 관심을 가지는 젊은이들이에게 크나큰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않았나 싶다. 현재 특히 젊은층에서 큰 센세이션을 일으키고 있는 진보성향. 보수를 거부하고 진보를 떠받드는 현상을 체 게바라라는 한 사람의 공도 있었다고 표현한다면 과장일까?

체는 현실의 세계를 떠났다. `우리 모두 혁명가가 되자.` `우리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하지만 마음속에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라고 외치던 그는 이제 우리의 현실 세계를 떠났다. 하지만 그는 완전히 떠나지 않았다. 우리들의 마음 속, 정신 속에 그의 말 한마디 한마디가 자리잡고 있다. 그는 비록 떠났지만 그의 정신은 우리에게 완전한 인간이 되기를 갈망하고 있다. 이 세계를 그렇게 살다간 체를 배워야 할 것이다. 괜히 할일없는 한 사람이 근 10년의 공을 들여 체 게바라의 인생역정을 그려내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 시대, 이념은 맞지 않더라도 그 의 열정적인 정신만은 증발시켜 흡수할 영양가가 너무 풍부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