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성석제 지음 / 창비 / 200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이 책을 읽기 전에 참으로 부끄러운 사실이 있었다. 뭐 사실 생각해 보면 크게 부끄러울것도 아니지만, 이 책을 펴서 읽기 직전까지 난 이 책이 소설책인지를 몰랐다.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누가 말했다고 하길래, `음. 사회,정치분야 글이구나.근데 황만근은 누구지? 아직 신문에서도 본적이 없는데..`라고 단순히 생각 했을 뿐이었다. 그 생각에 아무런 살핌도 없이 책을 펼친 순간. 웬걸? 갑자기 소설이 틔어 나오지 않는가? 허허..

일단은 나의 초기 기대(?)와는 다른 장르를 뜻하지 않게 접하게 되었다. 하지만 `뭐, 워낙이 유명하니까. 여기저기서 모두들 그렇게 재밌다고 하니까, 소설이면 어떻고 사회분야면 어떻냐~ 책은 책이지.` 라는 비교적 낙관하며 읽기로 했다.

`소문난 잔치집에 먹을것 없다.`라는 유명한(?) 말이 있다. 그래도 소문난 책속에는 먹을거리가 많다는 나의 철학적논리의 굳건한 바탕으로 소문난 책을 맛봤다. 결과는? 옛말이 맞았다. 나의 철학이 무너진 순간이요, 옛 말의 위대함을 뼈저리게 느끼게 되는 반성의 순간(?). 모든 부분을 저 멀리 밀쳐두고, 모두들 하나같이 얘기하는 이 한마디. `소설이 이렇게 재밌어도 되나?`(어디에서인지 이런 글을 본듯하다.) 개인마다 취향이 있다지만 그래도 대중적 입맛에는 아주 순응적이었던 나에게, 이번만큼은 입맛에 크게 들지를 않았다. 재미없었던것은 아니었다. 물론 소설을 좋아하는 나인만큼 재미는 있었다. 하지만 그렇게 극찬을 하던 만큼의 명성이 나에게는 와닿지 않았다. 사람들은 왜 이 책이 그렇게 재밌다고 했을까? 자, 보물찾기 아니, 이유찾기 해봅시다. 시작~

매우 재밌다고는 느끼지 못했지만 그래도 대다수의 독자분들이 느끼는 재미있는 부분의 핵심 요체는 바로 소재 선택이 아니었나 싶다. 사실 나도 책을 읽으면서 느낀것이지만 `허~ 참 이분 소재하나는 진짜 특별한것들 가지고 쓰셨네.` 그런 소재의 특별성은 읽는이의 관심을 촉발하기에는 더없이 좋다. 요즘 광고만 봐도 너무나 특별한것들은 물론, 오히려 무슨 광고인지도 모르게 하는 `특별성`을 선보이지 않는가? 그만큼 흥미유발은 그 자체의 흥미성보다 오히려 더 중요하다고도 볼 수 있겠다.

그런 점에서 이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는 100점이다. 일반 생활속의 소설같으면서도 그 소재의 특별함. 이것이 아마 독자분들의 관심을 유도하였으며 더불어 큰 재미도 느끼게 해 준것이리라.(물론 나처럼 개인차는 있겠지만.) 그리고 한가지 더. 이 책은 독자에게 생각할 거리를 남겨둔다. 작가 혼자서 `이건 모두 내 꺼~`하고 몽땅몽땅 해 치워 버리는게 아니다. `혼자서도 잘해요`가 아니라 `다 같이 해요`다. 추천인의 말대로 요즘, 특히 현실을 반영하는 소설에는 하나같이 작가가 그 구심점을 제시 해 버림으로써 독자에게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지만 그만큼 생각의 넓이를 제한하게 된다. 하지만 이 책은 그저 물음을 던질 뿐이다. 절대 해답은 없다. `니들이 게맛을 알아?` 처럼 독자의 의견을 묻는다. 예시는 비약이겠지?

맨 처음 이 책을 읽기전의 부끄러움을 제시했었는데, 읽고 난 후에도 부끄러운것이 생겼다. 추천인의 말에서 이런 말이 있었다. `독자는 재미있는 이야기 한판 즐겼다는 기분에 흐뭇해하며 책장을 덮을 것이다. 그러나 실상 그 독자는 성석제의 소설 안쪽으로는 한 발짝도 들이지 못하였다.` 뜨끔했다. 꼭 나보고 하는 말 같아서. 사실 처음에 `이 책은 소설이야.소설!`하고 너무 생각하면서 읽어서 일까? 이책의 현실연관성이나 사회비판성은 생각지도 않은채, `음 그런대로 재미있었다.`라고 느꼈었다. 추천의 말을 보고 부랴부랴 다시 읽어 앞서의 글들이 나올 수 있었다. 아마 이런 부끄러움에 진정한 재미를 느끼지 못한것이 아닐까 하는 안타까움이 든다.

언젠가 다시 시간나면 진정한 독자참여 소설을 대하는 기분으로 다시 읽어 봐야겠다는 다짐, 이 글을 쓰며 한번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