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나는 살아가리라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유용주 지음 / 솔출판사 / 2002년 9월
평점 :
절판


흔히 사람들은 자기가 어려움에 처했을때 이런 말을 종종 하곤한다. `야. 너보다 훨씬 어려운 사람 많어. 지금의 네 상황보다도 훨씬 어려운 이들을 생각해봐. 넌 지금 행복한거야.` 정녕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보지 않아서 인지 자기가 위로의 배역을 맡게 되었을때는 너무나 잘 외어지는 대사중 하나이고 그 만큼 부족한 희소성으로 인해 듣는 배역에서는 그다지 중한 글귀로 들리지 않는다. `소 귀에 경읽기`까지는 되지 않더라고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린다` 정도랄까?

나 역시 나름대로 어린시절은 힘들게 보냈다고 생각한다.(아. 물론 지금도 어리다고 생각하지만.) 우리집도 한때는 매일아침 가족의 생사여부가 걱정되는 낡은 연탄불에 우리가족의 따스함을 맡겼고. 서서하는 부엌일은 꿈에도 꾸지 못한 오로지 튼튼한 우리 어머니의 허리만 밑던 재래식 부엌이 있었고 비오는 날은 넑직넑직한 대야를 네다섯게 필요로 하던 여유로운 구멍을 가진 천장이 있었고 모든 고기는 해로운것이라 설파하며 가족들을 채식주의자로 전향시키려던 호사스런(?) 금전이 있었다.

물론 이 정도의 아픔이야 우리보다 훨씬 못사는 사람, 훨씬 어려운 사람에 비할바가 아니라는 생각은 수 많은 3잎크로바 열풍의 생각속에 독보적인 4잎클로바 생기듯 가끔은 하였다. 그래도 그 무슨 자랑이나 되는치, `나도 어려운 시절 많이 겪었어. 나도 크면 이 밑바닥 인생이 무언가 도움이 될거야.`라는 참으로 오만 방자한, 메추리 타조알 품듯한 사리분별 못한 생각만 하였다. 진정한 어려운 생활이란, 그런것을 극복하는 생활이란 무엇인지를 깨닫지 못하고.

흔히 어려움을 겪고 크게 성공한 자서전적 성격의 책들을 우리는 많이 보아 왔지만 이 유용주 시인님의 글은 자서전적 성격이긴 하나 크게 성공한 사례라기 보다는 자기의 삶에 달관한 자기의 삶자체를 문학뿐이라고만 여기며 모든것을 아우려 지내는 자세가 엿보인다. 모든 부류, 모든 매체, 모든 관계에서 지금의 삶을 극복하라. 예전의 초라하던 너의 모습은 이제 버려라.라고 떠들어 대지만 유용주 시인은 오히려 앞으로 더 어렵게, 더 나누며, 더 힘들게 사리라 다짐한다. 말이야 쉽지? 아니다. 삶이 있기에 경험이 있는게 아니라 경험이 있기에 삶있든 유용주시인께서는 먼저 행동을 취하며 그것을 말한것이라 본다. 앞으로의 밝아올 생활에 부푼 기대를 안고 살아가다 실망의 찬맛을 보는것 보다 앞으로 더 어렵게 살며 오히려 지금 이 순간 이 순간이 더없이 달고 따뜻한 순간이라 여기며 살아가기. 그래서 나도 살아가리라.

모 cf카피중 `힘들게 일한 당신 떠나라`라는 문구가 대 히트다. 나는 남들이야 어떻든 의미를 이렇게 해석해 본다.`힘들게 일한 만큼 보상을 바래라` 당연히 힘들게 일했으면 그에 합당한 보상이 와야 성에 차고 도리라 여긴다. 하지만 진정 이땅에 힘들게 일하고 떠나기는 커녕 오히려 매몰당하는 베짱이보다 개미가 많은 이 시대에, 유용주 시인은 `힘들게 일한 당신 더 힘들게 일해라.`라는 문구로써 삶의 의미와 의욕을 되새겨 준다고 믿는다.

부디 이 책을 읽은 많은 분들이 다시금 되새기며 자기만의 제목으로 탈바꿈하길 바랍니다. 접속사 `그러나`는 `그래서`로, 조사 `는`은 `도`로. 모두들 되뇌어 봅시다. 그래서 나도 살아가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