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들의 대한민국 1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우리사회를 비판의 안목에서 바라본 `당신들의 대한민국`. 알다싶이 이 책의 저자는 원래는 러시아인으로써 우리나라에 귀화한 박노자란 분이다. 책의 제목에서는 이방인이라는 측면에서 쓰여진 것처럼 느껴지는 <`당신들의` 대한민국>이라 칭했지만 실제로는 이제는 우리나라사람인 대한민국 국민으로써 <`우리들의` 대한민국>을 서술하였다.

이런 한국사회의 비판적인 면모를 보고있자면 그냥 할말이 없어진다. 너무나 무기력해 지고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이라고는 한치도 볼수 없는 너무나 비관적인 사회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겉으로는 민주주의를 내세우면서 그 실상은 소수의 전체주의 밖에 되지않으며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누구나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게 되는 부정과 부패. 이런 반성의 기미가 우리나라 본토학자가 아닌 외국의 학자(물론 지금은 우리나라사람이지만)로 부터 크게 부각된다는 것은 정말이지 부끄럽고도 수치스러운 일이 아닐수 없다. 남이 지껄이지(?)만 않는다면 이대로 계속 살아가리라! 라는 아주 무사안일주의적인 태도가 안타까울수 밖에 없다.

이 책에는 우리나라 전반적인 문제점들을 시사 하였는데 그 내용은 굳이 표출하지 않더라도 제목만 제시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아~하고 바로 알만한 것들이다. 다만 우리가 간과하기 쉬운점도 나타나져 있는데 이 책의 마지막부분을 장식하고 있는 인종주의이다. 무조건 `단일민족`만을 내세우며 진정 단일민족이라는 장점은 살리지 못한체 겉의 단일민족이라는 간판을 사수하기 위해 우리민족이 아닌 그나 그녀는 무조건 배척의 상대가 된다. 정말 우리안의 파시즘이란 말이 괜히 나온것이 아니다. 그렇게 단일민족은 강조하면서 실상 진짜 우리의 민족인 북한에 대해서는 그렇게 또 냉대적일수가 없다. 겉으로는 그리고 대외적으로는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고 하지만 실제 남북분단의 경험이 없는 우리 젊은 세대에는 제법많은 수의 젊은이들이 북한에게 동족이라는 애정이 없다. 그냥 이북의 옛날에 우리와 같이 살던 불쌍한 사람이라고만 머릿속이 고정된 사람이 한둘이 아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은 `우리`라는 말을 이용하여 사람을 선동하고 또 조작한다. 이 인종(민족)주의야 말로 이 `당신들의 대한민국`에서 가장 크게 집고 넘어가야 할 우리의 반성적 과제가 아닌가 한다.

이 책은 일종의 `일기`라고 하고 싶다. 각자의 개인은 일기란것을 자주 쓴다. 자기가 살아온 구체적 잘못된점이나 부족한점을 일기란것을 씀으로서 반성하고 비록 구체적 개선방침은 얻지를 못하더라도 개선의지만큼은 되새길수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비록 개선책에 대한 구체적은 방향은 없다하더라고 우리의 개선의지를 자각하게 해주는 대한민국의 한 일기장이다. 다만 진정 대한의 본토인이 아닌 전에는 이방인이었던(이 이방인이란 말에 큰 의미는 부여하시질 마시길) 사람의 일기다. 진정 일기를 써야 할 `학생`들은 게으름을 피우고 있고 오히려 `전학생`이 그 학교실상을 낱낱이 파헤치고 있을뿐이다.

우리나라 개개인의 사람들, 특히 대부분의 도덕적인 사람은(이 책에서 명시하듯 가난하고 힘없는 부류에서 도덕적인 사람이 많이 배출된다.)우리나라 현실에 대해 크게 도탄한다. 그리고 대다수의 안일한 사람들은 `아~ 우리나라 이제 겨우 자본주의 사회로 접어들고 민주주의 성숙의 단계인데 너무 많은것을 바라면 안되지!`라고 자조한다. 물론 우리나라는 아직 자본주의라던지 민주주의는 완전 정착을 하지 못하고 성숙의 단계인것만은 확실하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면은 이미 도입기의 단계를 훌쩍 넘어선 부패의 단계까지 다다르고 있다. 가만히 두면 민주주의라는 산의 정상에 오르기도 전에 산이 무너져버릴 형편이다. 우리모두 편안하게 제도속에 안주한다면 나 하나쯤은 그리고 `우리`가족쯤은 편안할지는 모르겠지만 앞으로의 발전은 기대하기 힘들것이다.

우리는 `원망으로는 세상의 원망의 악순환을 끊을수 없다`라는 진리를 받아들여야 할것이다. 과연 언제 누가 이 악순환을 끊을수 있을까? 결국은 `우리`라는 답에 다다르지만 이미 제도속에 안주해 버린 `우리`에게는 너무나 심적부담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