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고로야, 고마워
오타니 준코 지음, 오타니 에이지 사진, 구혜영 옮김 / 오늘의책 / 200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다이고로.다이고로. 참 주변에서 귀로도 자주 듣고 눈으로도 자주보아 왔던 글이다. 하지만 나는 여태껏 그 `실체`는 보지를 못하고 있었다. 오늘에서야 그 `실체`를 접하고는 그 환희를 감출수가 없다. 아니 오히려 이제서야 만나게 된 나의 게으름에 유감을 감출 수가 없다.

`다이고로` 그는 딸부잣집 가족의 막내둥이 아들. 기형원숭이다. 그 가족의 아버지가 어미 원숭이에게 버려져 가사상태에 있는 기형원숭이를 데리고 와서 무럭무럭 건강히 잘자라거라는 마음에 `다이고로`라고 붙여 주었다. 가족의 보살핌 덕에 아니면 그 이름의 덕을 본것일까. `다이고로`는 정말이지 처음에 가사상태에 있었다는것이 믿어지지 않을 만큼 건강히 자라났다. 비록 팔다리가 거의 없는 상태인데도 말이다. `다이고로`의 의지가 너무나 엿보이는 장면이다.

`다이고로`는 인간의 세상속에 파묻혀 있다보니 자기가 원숭이란 자각은 하지 않는다. 그리고 자기가 장애가 있다는데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정말 열심히 그것을 극복하고자 노력한다. 다만, 주위의 시커먼 마음을 가진 인간만이 `얘들아, 그 원숭이는 더러우니까 가까이 가지마라~` 라고 할뿐이다. 그 얼마나 크나큰 편견인가. 오직 세상의 때가 묻지 않은 어린아이들만이 그 원숭이를 정말 살아있는 하나의 `실체`로만 여겨줄뿐, 이미 속세의 온갖 찌든 때를 다 맛본 이들은 `다이고로`가 원숭이로 보이지 않을뿐더러 오히려 더러운 어떤 `것`으로 본다. 생물이 아닌 그냥 그저그런 물건으로 대한다는것이다. 이 시대 사람들의 `다이고로`에 대한 시선과 편견은 그대로 인간 장애자분들께도 전이 되지는 않는가 한다. 부정할수 없는 현실이다.

물론 이 책은 장애자들에 대한 시선을 바로잡자.라는 의미를 부여하는 책은 아니다. 오히려 동물인 `다이고로`조차 자기에게 주어진 삶을 부정하지 않으며 열심히 극복하고자 하는데 `자칭`모든 `생물들의 왕` 인간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부정하지는 말지어다라는 메세지를 전달한것이다. 하지만 나로서는 이 시대를 한번 훑어보지 않을수 없었던것 뿐이다.

`다이고로`가 죽는 장면에서는 눈물까지 핑 돌았다. 특히 어머니가 한 말이 가슴을 저리게 했다. `아마 다이고로가 계속 살아 있었다면 내 몸이 견뎌내지를 못했을거다. 어쩌면 다이고로가 나 대신 죽은건지도 모른다.` 난 웬지 이 말이 너무 추상적인 사람의 상상속에서 나왔다 하더라도 너무 공감이 갔다. 꼭 그런것만 같았다. 그동안 잘 보살펴 주었던 보은이라고나 할까. `다이고로`가 죽기전에 어머니를 계속 물끄러미 바라만 보았다는데서 난 그것을 굳게 믿을수 밖에 없었다. 역시 동물이라고 인간보다 못한면은 없다. 조금 머리가 나쁠뿐 자기가족을 위하고 희생하는것은 인간보다 더 빛나면 빛났지 결코 덜하지는 않다.

`다이고로` 이 원숭이 한마리가 이 세상에 잠시 다녀간 동안. 이 세상에 남겨진 인간들에게는 많은 의미를 남겨 주었다. 비록 그 전까지는 생명의 귀중함을 모르고, 자기나날을 무의미하게 보냈다 하더라도 이제는 뭔가를 얻을것이다., 또 시커먼 마음의 공터를 지녔다 하더라도 이 조그마한 한마리의 원숭이로 인해 조그마한 등불은 되었을것이다. `실제`로의 `다이고로`는 키워보지는 못하더라도 마음속에만은 모두들 `다이고로`를 한마리씩 키워보는것은 어떠하실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