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춘만의 중공업
조춘만.이영준 지음 / 워크룸프레스(Workroom)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이 조선업이나 중화학공업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 사람들은 십중팔구 그 규모에 대해 잘 모르는 상태에서 말을 한다. 이것은 내가 확신을 가지고 말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명제들 중 하나다. 그 이유는, 내가 선박의 엔진을 직접 본 사람이기 때문인데, 그 크기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비유를 들곤 한다: 동네에 한 10년쯤 묵은 5층짜리 연립이나 빌라 있으면, 엔진이 그 빌라 한 동 만하다고 보면 돼요. / 조선소에 있던 후배 직원이 하는 얘기는 이렇다. 배 그거 한 이십층 짜리 건물만한 것도 있고, 오십 층짜리 건물만한 것도 있고 그래요(여기에 10층 높이를 더하면 63빌딩이다).


이러한 배를 짓는 공방으로서의 건물은 일반적인 건물과 전혀 다를 수밖에 없다. 철판과 자재들이 작은 블록이 되고, 그 블록들을 기계로 실어날라 다른 더 큰 공정에서 합쳐 더 큰 블록을 만들고, 그 블록을 또 실어날라 크레인으로 들어 다른 블록과 맞추고, 또 맞춘다. 쇠로 건물을 짓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서울에 있는 웬만한 아파트들과 비슷한 크기의 건물이 몇 달이라는 시간 안에 용접용접용접 하며 지어지는 것이다. 이 과정의 중간 결과물들과 그 결과물을 둘러싼 풍경들을 사진으로 담아낸다는 것은, 그리고 그 결과물들은, 보는 사람에게 혹은 찍는 사람에게  무엇을 의미할까? 적어도 기업들이 카달로그 속에서 보여 주고 싶은 이미지나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공간지각력으로 그려낼 수 있는 이미지는 아닐 것이다.


조선소에 있다가 중동 쪽 건설현장을 돌고 온 용접사 조춘만은, 중동에서 벌어온 돈으로 이런저런 장사를 하다가 대학교에 진학했는데, 사진학과에 갔다고 한다. 중동 시절 사 온 니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찍은 경험이 있어서였다고 한다. 그리고 그는, 그 과정에서 처음 했던 일인 취부사(철판을 이용하여 가장 작은 단위의 부품을 만드는 일이라고 한다)에서 용접사를 거치며 느꼈던 거대함에 대한 어떤 생경한 감각을 담아내는 방법을 익힌 것 같다.


어찌 보면 대단히 plain한 사진들이다. 배가 화면 정중앙을 가득히 채우고 서 있다. 얼핏 보면 배로 보이지도 않는다. 그런데, 보는 순간 가슴이 뛰고 압도당한다. 그 압도의 감정은 아직도 수수께끼다. 내가 그 사진에 들어 있는 배들이 수십 미터, 아니 백여 미터 밖에서 대구경 망원으로 때리지 않으면 담기지조차 않을 만큼 거대한 물건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도 아니고, 그 안에 있는 배들이 엄청나게 아름다운 구도로 잡혀 있기 때문도 아니다. 그럼에도 보는 순간 입에서 탄성이 흘러나온다. 이영준은 이를 두고 겸재의 그림을 논하기도 하는데, 어느 정도는 동의할 만하다. 대상에 극도로 몰입한 나머지 사람, 주변풍경 등이 모두 사라져버리고 그 대상 하나만이 화면을 가득 채우고 내 눈앞에서 거대하게 나를 짓누르는 느낌.


물론 배 말고 석유화학공업 쪽도 있다. 내가 배를 좋아해서 그런데, 여튼 화학 쪽 또한 매우 아름답다. 배가 규모로 사람을 압도하는 만큼 중화학 공장도 말도 안 되게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고, 탱크 벽들의 질감이나 탱크/파이프라인에 걸려 있는 긴장감과 압력을 그대로 담아낸 듯한 결과물 역시, 조선 만큼이나 놀랍다. 여러 산업사진가들의 사진들을 보지 못 한 상태에서 섣불리 평가할 수는 없겠으나, 나의 일천한 경험에 비추어 말하니 너무 믿지는 않았으면 하는데, 적어도 내가 지금까지 본 사진집 중에 이렇게 사람의 말문을 틀어막아 버리는 느낌의 압도적인 아름다움으로 가득찬 책은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