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의 탄생 우석훈 한국경제대안 4
우석훈 지음 / 개마고원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괴물의 탄생’에서 우석훈은 이 시대의 경제상황을 ‘괴물’에 비유한다. 특히 경제적인 약자들에게 더욱 그렇다고 말한다. 과장된 말일까? 아니다. 만인이 만인을 향해 투쟁하는 것만 남은 사회가 아니라고 말할 수 있는 이가 누구일까.

얼마 전에 국민소득 2만 달러가 되면 이 나라 경제가 좋아질거라고 했던 것이 생각난다. 노무현도 그랬고 이건희도 그랬다. 그래서 나아졌을까? 지금 그런 말 했다가는 돌 맞을 지도 모른다. 택도 없는 소리였다. 그것은 소수의 가진 자에게나 해당되는 말이었다.

우석훈은 4만 달러가 되더라도 변할 것이 없다고 한다. 구조의 문제 때문이다. 정부와 기업, 경제 논리의 제1부문과 제2부문만이 남은 상황에서는 아무리 발버둥쳐도 경제적인 약자를 배려해줄 수가 없다는 논지를 펼치고 있다. 우석훈은 제3부문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제3부문? 그건 또 뭔가?, 라고 한다면, 왜 우리만 그래야 하냐고 한다면, 대단히 큰 실수를 범하는 것이다. 스위스나 미국 등은 이미 있다. 일본도 있다. 우리만 그래야 하는 게 아니라 경제대국 중에 우리만 없다. 왜 우리나라 경제학자들은 이런 말을 하지 않았던 거지? 좌파니 우파니 하면서 서로 욕하기만 하면서 왜 그런 건 말해주지 않았던 걸까? 다 쓸모없는 이들이구나.

우석훈의 ‘괴물의 탄생’은 대안이 있다. 그것이 맞는지 틀린지는 검토해보고 더 생각해봐야 할 것이지만, 최소한 지금 들어야 하는 어처구니없는 말은 없다. 더 낫다. 더 나은 미래를 향해 무언가를 말하는 것이 느껴진다.

부디 많은 사람들이 경청하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