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를 기르다
윤대녕 지음 / 창비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이 어쩜 이리도 아름다운가! ‘제비를 기르다’를 보면서 가슴이 먹먹해진 순간은 어찌 이리 많은가. 8개의 단편소설이 있는 ‘제비를 기르다’는 나를 울다가 웃게 만들었다. 아! 그것들은 하나같이 제 색깔이 뚜렷하다. 하지만 나는 그것을 관통하는 한 가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인생을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매혹’이다. 그렇다. 윤대녕 소설집은 매혹, 그 자체다. 숨을 멎게 만드는 그것이 소설 곳곳에 스며들어있다. 그러니 아름답다는 느낀 것도 당연한 것일 것이다. 가슴이 먹먹해진 것도 그것 때문일 것이다.

‘연’을 보면서 미선의 붉어진 얼굴이 잊혀 지지 않는다. 그 살뜰할 정다움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얼레’라는 단어가 주는 여운은 또 무엇인지. 윤대녕의 힘이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제비를 기르다’는 지나간 시간 속에 몸을 던지는 소설이다. 윤대녕은 과거와 현재를 아름답게 엮었다. 윤대녕답지 않은 농담까지 사용하면서도 그 끈을 아름답게, 정확히 말하면 숨이 막힐 것처럼 매혹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탱자’는 재밌는 소설이다. 윤대녕소설을 두고 재밌다는 표현이 좀 어색하기는 하지만 이 소설만큼은 그렇다고 말하고 싶다. 늙은 사람의 즐거운 인생타령은 재밌다. 재미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삶을 사랑하게 만들어준다. 이것이 소설의 힘인가. 소설 속의 화자가 내 어깨를 두드려주는 듯 하다. 그 마찰은, 분명히 매혹적이다.

‘편백나무숲 쪽으로’는 아름다운 영화를 닮았다. 아름다운 분위기, 그 사이에서 나오는 인간들의 내밀한 이야기는 내 귀를 쫑긋하게 만들었다. 씁쓸함과 정겨움이 오가는 그 기묘한 줄타기는 눈을 떼지 못하게 만든다. 이것이 윤대녕 소설인가 싶은 그 맛, 정말 놀라웠다. ‘고래등’도 그랬지만, ‘못구멍’은 정말 대단했다. 누군가에게 꼭 건네주고 싶은 소설! 직접 읽어주고 싶은 소설! 가슴을 먹먹하게 만드는 그 간절함! 내가 이 소설 읽기를 잘했다는 확신을 준 그 짜릿한 순간을 어찌 설명할지 모르겠다. 소설의 끝에 여자가 아이브로우 펜슬로 적어놓은 ‘글자들’을 읽을 때, 그 매혹적인 글자들에 내가 살아있어 이런 소설을 읽을 수 있다는 사실에 나 자신을 축복했다. 정말 좋은 소설을 봤을 때 나오는 그 감정이 이 소설의 끝에서 멈추지 않고 쏟아졌다.

이 매혹적인 소설들이 계속되는데, 정말 소설이 끝날 때에는 이 책을 다 읽었다는 사실이 아쉽고 속상해서 미칠 것 같았다. 이렇게 매혹적인 소설을 언제 또 볼 수 있을지 몰라서 눈물이 날 것 같은 그런 마음이었다.

아직 한 달하고도 반이 남았지만, 나는 단언할 수 있다. 이 책은 내가 올해 본 책 중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주고 싶은 책 중에 하나라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