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추사 1
한승원 지음 / 열림원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한승원의 ‘추사’를 읽고 추. 사. 라고 천천히 발음해봤다. 미세하게 공기가 흔들리는 것 같다. 손을 내밀어 추. 사. 라고 써봤다. 분명하게 공기가 흔들리고 있었다. 흔들림 사이로 쓸쓸함이 물 밀듯이 밀려온다. 추. 사. 당신은 그곳에 있는 것인가요? 나는 쓸데없는 짓이라는 걸 알면서도 그리 말하고 만다. 다시 책을 본다. 이것이 무엇이기에, 내 마음을 이리 쓸쓸하게 흔들리게 하는 이것의 정체는 무엇일까.
한낱 책이라고 하기에는 뭔가 이상하고도 야릇한 이것에 처음 손을 뻗었을 때, 묘한 전류가 흐르는 것 같았다. 내 행위가 ‘독서’의 그것이 아니라 벽 하나를 뚫고 지나가는 듯 했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 추사라고 불렸던 그 사람을 바로 옆에서 또렷이 쳐다보는 것 같은 착각에 사로잡혔다. 문장을 읽으면 읽을수록 추사의 숨결이 느껴지는 듯 했다. 가까웠다. 너무 가깝게 느껴져 이게 바로 한승원의 소설이구나, 하는 감탄을 하면서도 소름이 돋기도 했다. 만져서는 안 되는 금기를 만진 듯 한 그런 느낌마저 들었다.
놀라면서 책을 읽고 또 읽을 무렵, 나는 ‘추사’가 다른 역사소설들과 많이 다르다는 걸 알았다. 역사소설의 주인공은 착하다. 좋게 평가받게 된다. 어찌할 수 없이, 작가들이 그들에게 동정표를 던져주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그런데 한승원은 추사를 비난받게 만들기도 했다. 저 무엄한 녀석!, 하는 생각에 주먹을 불끈 쥐게 만들었다. 좋게 보일 때도 있지만 분명히 비난도 받도록 했다. 무슨 조화일까. 어째서 그렇게 한 것일까? 생각에 생각을 거듭하다가 한 가지 결론을 얻었다. 그것이 독자를 향한 최대한의 친절이라는 것, 바로 이것이다.
써놓고 보니 뻔한 말 같다. 인정한다. 뻔하다. 결론은 독자가 만들고 유추하고 상상을 더해가는 것이다. 하지만 요즘 역사소설들은 그렇게 만들어주지 않는다. 암묵적으로 결론을 만들어놓고 있다. 그러고 나니까 독자들이 그것을 따라갈 수밖에 없는 꼴이 된다. 독자들은 작가가 원하는 대로 소설을 읽고 마는 것이다. ‘추사’는 아니었다. 판단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추사는 오만한 천재인가?, 시대의 불우한 희생자인가? 그 답을 독자가 내릴 수 있게 만들어주고 있던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쓸쓸하다. 내가 응원하고 싶은 이 사람이 내 소망과 달리 ‘불우’한 인생이라고 낙인찍힐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다시 불러본다. 추. 사. 이 이름은 쓸쓸하다. 그러나 소설의 제목 ‘추사’를 불러볼 때는 그런 생각은 들지 않는다. 제대로 된 역사소설 만났다는 생각에 그렇다. 처음부터 끝까지 과거-현재 구조를 반복한 것이 조금은 섭섭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이 정도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추”/“사” 떠오르는 사람 이름과 책 제목에 가슴이 미묘하게 흔들리고 있다. 다시 생각해도 이 책을 읽는 건 단순히 독서한 것이 아니었다. 과거로 걸어갔다 온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