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폼페이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4-1 ㅣ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4
로버트 해리스 지음, 박아람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히스토리 팩션’을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 공상적인 내용이 너무 많고 억지스럽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렇다. 하지만 “폼페이 최후의 날 카운트다운, 그곳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졌는가”라는 문장에 끌려 ‘폼페이’를 보고 그런 생각은 와르르 무너져버렸다. 신뢰를 안 한다니! ‘폼페이’정도의 소설만 있다면 히스토리 팩션은 부활할 지어다! 책을 덮은 뒤에 나는 그런 확신을 하고 말았다.
‘폼페이’는 폼페이가 멸망하기 이틀 전에 일어난 일들을 소설화했다. 책을 보기 전에 나는 폼페이에 관한 지식이라고는 화산이 폭발해서 망한다는 것뿐이었다. 그 외에는 아는 것이 없었다. 이틀 전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당연히 몰랐다. 그래서 궁금했다. 이틀 전부터 무슨 일이 있었던 거지?
인간의 욕심, 끝없는 물욕… 그것이 있었다. ‘폼페이’의 부자들은 미쳐있었다. 노예들을 부려먹고 자신의 재산을 불리느라 정신이 없었다. 물이 나오지 않는 이상한 일이, 화산 폭발과 같은 재앙이 곧 들이닥칠 것임을 암시하는 징후가 있었는데도 그것 때문에 알아채지 못했다. 그들의 눈과 귀에는 오로지 돈과 아부하는 소리만 들렸다. 아! 한 남자가 그것을 막아보려 하지만 이미 늦었다. 폼페이에 들이닥치는 멸망의 전주곡은 신도 어찌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런데 한 인간이 무얼하겠는가. 화산 폭발, 그리고 멸망.
가슴이 저렸다. 속상했다. 마음이 아팠다. 로버트 해리스는 어쩌자고 그 순간을 실감나게 묘사해서, 가슴들이 비명을 지르고 무기력하게 죽어가는 것을 상상하게 만들었는지… 그들은 얼마나 두려웠을까… 그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죽었다는 것은 비극적인 일이었다. ‘폼페이’에서 그 부분을 읽을 때는 소름이 끼쳤다. 뭔가에 홀린 듯 심장이 떨리는 순간까지 맞이하고 말았다.
아프다. 이 소설은 나를 아프게 만든다. 하지만 희망을 이야기해서 나는 웃을 수 있었다. 그 남자, 그는 사랑하는 여자와 살아남아서 비극을 이야기하기로 한다.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말하려고 계속 걷는다. 그들의 뒷모습을 상상하자 기뻤다. 그 재앙에서도 인간이 나아갈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것이 내 마음을 흡족하게 만들었다.
소름끼치게 생생한 묘사가 압권이라고 말하고 싶다. 영화를 보는 것 같은 그런 느낌이다. 다시 읽어도 지루하지 않을 것 같다. 히스토리 팩션에 대한 신뢰감까지 생겼다. 엄청난 스케일로 나를 압도한 ‘폼페이’, 쉽게 잊혀 지지 않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