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겐슈타인 평전 - 천재의 의무 Meaning of Life 시리즈 8
레이 몽크 지음, 남기창 옮김 / 필로소픽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1. 특정 인간에 대한 성찰의 의미

 어떤 인물의 평전은 쓴다는 것은 무모한 일인 것처럼 느껴진다. 그것이 어떤 평전이든 기껏해야 한 시선만을 오롯이 담아낼 뿐이고, 남겨진 삶의 부분은 깎여나가 버리기 마련이다. 사케를 마시면서 그것의 기원인 쌀의 향취를 더듬는 과정이랄까. 그러나 이런 점을 견지하더라도 이 평전은 일급의 작품에 속한다. 비트겐슈타인의 생애를 비교적 적합하게 해석할 뿐만 아니라 그의 철학까지 함깨 연결하고 있기 때문이다.


2. 철학자는 사상가인가

 철학자의 삶을 아는 것이 필요한 지의 여부는 전적으로 위의 소제목에 대한 생각에 달려있다. 하지만 이와 별개로 비트겐슈타인의 경우, 그의 철학이 기존의 어떤 철학보다 반동적으로 느껴지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그는 왜?'라는 의문부호를 계속 달게 된다. 특히 비트겐슈타인이 살던 배경이 서양 역사상 많은 변화를 표출하던 지점 중 하나인 20세기 말의 빈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또한 어떤 창작물을 두고 그 제작자를 환원시키려는 행위가 무의미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런 산뜻한 의문감을 해소하기 위해 들게 되었던 이 책은 최고의 선택이었다


3. 철학 의사(Philosophy Doctor) 비트겐슈타인

 속된 말로 '의심병'이라는 표현이 있다. 모든 철학자는 의심병 환자이다. 그것은 가끔씩 우리의 삶이 금방이라도 떨어져나갈 것 같은 경첩과도 같기 때문이다. 와닿지 않은 사람을 위해 예시를 언급하자면 '왜 사는가?'같은 식의 의문이다. 비트겐슈타인은 그 중에서도 심한 편에 속했던 것 같다. 그에게 논리학과 윤리학은 단순히 하면 좋은 게 아니라 의무였다.(바이닝거) 이런 관점에서 그의 철학은 치유적 행위나 다름없다. 비록 그는 자신의 병리적 의문에 대한 해소를 위해 철학을 하였지만, 그가 남긴 치열한 기록은 후대의 많은 이들을 치료하였다.


4. 사람들에게 내 삶이 참 멋있었다고 전해주시오

 평전을 통해 비트겐슈타인의 발자취를 추적하다가 마지막에 이르러 이런 유언을 들으면 마치 그가 이 한 마디를 위해 평생을 살아온 것 마냥 느껴질 정도이다. 모든 삶은 말할 수 없는 것이고 그것은 보여져야만 한다. 삶은 실천이다. 그는 끊임없이 행동을 실천한 사람이라는 점에서 탁월한 인간이다. 땅에서 새하얗게 솟아나 햇살에 맑은 얼굴 비추는 풀 한 포기의 인생을 살아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