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을 찾아서 - 뇌과학의 살아있는 역사 에릭 캔델 자서전
에릭 R. 캔델 지음, 전대호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1. 그의 역사

 이 책은 평생을 기억의 메커니즘을 연구해온 신경과학자의 생애와 연구 과정에 대한 기억을 담았다. 모든 이의 기억은 그 만큼의 역사와 동일하다. 그런 관점에서 이 책은 인간 에릭 캔델의 역사이기도 하다. 그는 크라우스가 자기 파괴의 실험실이라고 부르던 오스트리아 빈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당시 빈은 모든 전통과의 결별을 선언하는 혁명이 일어나던 장소이다. 언어의 자명함을 의심한 비트겐슈타인부터 표현주의 양식을 이끄는 클림트, 에곤 쉴레, 코코슈카 그리고 그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프로이트까지. 하지만 유태인인 그는 이러한 기억을 유산으로 가지고 미국으로 이민을 가야만 했다. 특히 그 곳에 스스로 동화되기 위해 독일식 이름인 에리히를 버리고 에릭이 되었을 때, 그의 심정이 어떠하였을 지는 21세기 한국에서 살아가는 내가 미루어 짐작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2.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지금 나는 내 기억을 불러내어

다시 한 번 상기한다. 초목이 아는 것,

창밖으로 보이는 해바라기가 아는 것,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이 하나의 별이라는 것을,

누가 이것을 잊게 하는가? 초침이 멈춘다면,

천년을 계획하는 것, 그것이 무슨 소용이 있는가.

 

-한스 카로사 해 지는 땅의 비가

 

 인간 정신의 안과 밖이 모두 파괴 되었던 시기. 에릭 캔델는 과학자로서 인간 정신의 근원인 기억을 연구하였다. 기억의 메커니즘은 모든 사람이 가지고 태어난다는 점에서 모두 동등하다. 그러나 메커니즘을 통해 기억되는 순간들은 일차적으로 모두 개인적 차원의 가치를 지닌다. 이 순간들은 모두 라는 주체를 통해 하나로 연결된 역사를 형성한다. 결국 신경과학자들이 밝혀낸 연구 결과는 우리가 기억을 SF 영화에서처럼 한 순간의 기억을 완전히 삭제할 수 없다는 사실을 설명한다.

 

3. 과학의 시대와 반성

 20세기는 과학의 세기라고 불러도 될 정도로 과학의 영향력이 폭발적으로 확장하는 시기이다. 심지어 요즘에는 과학이 인문학의 영역마저 모두 잠식하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이 논고에서 정리하였듯, 현재로부터 미래를 예언하려는 인과 명제에 대한 믿음은 모두 미신이다. 다만 과학은 실증적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인과 명제와는 성격이 다르다. 단지 그 뿐이다. 과학의 정당화는 전적으로 인류의 실용성에 있다. 이러한 선을 넘어섰을 때, 과학은 신의 얼굴을 하고 지상에 천국을 만든다는 명목으로 지옥을 완성시킬 것이다. 우리는 두 번의 세계 대전으로 이미 충분히 경험하였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