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비史
이윤우 지음 / 행림출판사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나는,
이 책의 저자를 알고 있다.
그녀와 나는
같은 초등학교를 졸업했고, 같은 중학교를 다녔고, 한 반 친구였고, 또 짝이기도-내 기억이 맞다면- 했다.
그녀와 난 친구 사이다.

그녀의 글 솜씨는 예부터 예사롭지 않았던 터라
그 어린 날,
'제 나이에 맞지 않는 글이다'
하여 교내 백일장 대회에서 퇴짜를 맞은 적도 있다.
-선생님들은 그 아이의 글이 아닌, 그 아이가 베낀 글이라 생각들을 하셨다. 이른바, 너무 잘 써서!!-
그랬던 그 친구가
스물 아홉에 작가가 되었다. 작가란 직업을 얻은 것이다.
문창과가 아닌 사학과로 진학했을 때, 꿈을 놓아버렸나 했었는데...
그녀는 이렇게, 이 나라의 역사를 어여삐 매만지는 여작가로 성장한 것이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서
이 책은 소설이다. 역사를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그녀의 첫 권에서 처럼,
인물을 바라보는,
그러한 인물들만을 선택하는,
그녀의 애정어린 시선을 다시금 만날 수 있다.
또한,
이내 곧 한숨도 내쉬어 진다.
그녀가 어여삐 여기는,
그녀의 펜이 어루만지는 인물들은 하나같이 고독하고, 소외되고, 한(恨)이 많은 이들인지라,
그 아품에 동화되는 순간이면 한숨이 멎어지질 않는다.
아마 서경식氏의 책을 좋아하는 이들이라면,
실존주의 문학을 즐겨하는 이들이라면,
그녀의 글도 기꺼이 반기리라!

이 책은 구성에 있어 조금 특이하다.
이야기를 엮어가는 중간중간 사료(史料)들을 삽입하였는데,
그것이 팩션(Faction)적이기 보다는 외려 극예술의 미장센(mise en scene)을 보는 듯 하다.
또한 단락과 단락을 연결하는 방식이 바늘에 실을 꿰는 듯한 순차적인 나열이 아닌,
장면 장면을 잘라 연결하는 영화나 드라마의 필름 같은 느낌이 아주 강하다.
그래서 그러한 면에서는 소설보다는 시나리오로 불릴만 하다.
때문에, 읽기가 조금 어려웠다.
표지판이 없는 길을 걷는 것 처럼,
내가 전혀 알지 못하는 언어로 된 표지판 밖에 없는 길을 걷는 것 처럼,
낯설고 그래서 느릿하게 움직일 수 밖에 없는 그런 책이다.
-음.. 미국 영화와 유럽 예술영화의 차이라면 비유가 쉬울까..?-

그리고,
이 책은 책을 읽는 이들에게 약간의 불편함을 끼친다.
-이 이유가 별 1개를 빼는 이유다.-
책을 받아들면 이 책이 단권 소설로 보인다.
허나, 막상 읽고 보면 아주 아주 긴 이야기의 제 1권이라는 걸 알 수 있다.
-나는 한동안 끝장을 넘기고도 꽤나 아리송 했다. 확인하기까지.-
또, 이 책은 띄어쓰기가 제 맘대로다. 이 점은 혁신에 가깝다.
글쓴이의 감정을 따라 띄어쓰기를 바꾼거라면 문제가 크진 않겠지만
만약 출판사의 감수의 미비 때문이라면 국어학자들을 아주 노(怒)하게 만들고도 남음이다.
내 경우는, 한 달을 덮어 두었다. 띄어쓰기에 개의치 않게 되기까지.

마지막으로,
이 한 권으로는 아직 왜 이 책의 제목에 낭만이란 단어가 들어갔는지 알 수 없다.
이제 막 미스터리가 시작되는 찰나까지만을 담았기 때문이겠지만
조금 달리 이야기를 하자면,
원래 이 낭만(Romance)이란 단어의 어원은 '이야기하다', '설명하다' 라는 것이었더란다.
어쩌다 이 단어에 '애정'이란 의미가 들어가게 됐는지는 모르지만
그에 비추어 생각하면,

"차마 바랄 수 없었던 낭만적 역사소설!"

이란 카피는
차마 밝힐 수 없었던,
누구도 상관하길 원치않는 역사여서,
그렇게 존재감을 침탈당한 역사를,
이야기 하다.
설명하다.

라고 볼 수도 있겠다.


aa..
그리고,
내 친구지만 글 하나는 정말 잘 쓴다!!
누구라도 동조할 수 있을 만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룩한 삶 - C.S.루이스를 통해 본
제럴드 리드 지음, 조혜정 옮김 / 엔크리스토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잠깐 사이 잊고 있던 것들을 깨우쳐 준데에는 무척이나 감사한 책이지만
책장을 넘길 수록
본색을 드러낸다고 해야 하나..
아니면 의도에서 어그러졌다라고 해야 하나..
아무튼,
점점 이 책은 C. S. Lewis 의 삶을 들여다 보는 것에서 벗어나
저자 자신의 주장의 정당성을 피력하기 위해 단순히 C. S. Lewis 의 권위를 이용한 듯 보인다.
그러니까
이 책에서 C. S. Lewis 란 이름은 없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내용의 처음부터 끝까지 C. S. Lewis 가 등장하지만.. 이것이 과연 C. S. Lewis 의 의도에 적합한 것일까..?
나는 아니라고 본다.
내가 내 뜻을 전달하기 위해 한글이란 언어를 택하듯
-물론, 나는 다른 언어를 택할 수 없지만.. 만약, 영어를 택한다면, 내 글은 아주 단순해질 것이고 설득력 역시 떨어질 것이다.-
저자 제럴드 리드 역시, 자신의 뜻을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C. S. Lewis 를 택했다고 본다.

게다가,
이 책은 또 하나의 우상 만들기를 시도한 듯 보인다.
물론 C. S. Lewis 는 많은 이들에게 읽혀 그가 가진 하나님의 영감을 나눌만 한 인물이지만,
그를 연구하는 것은.. 그래서 그를 성인이나 뭐.. 그러한 이들로 추대하고 취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그건, 나사렛 예수! 하나만으로 족하지 않은가!

분명,
C. S. Lewis 는 거룩한 사람이었다.
하나님의 거룩하심 안에 거하는 사람이었다.
허나, 그게 다다.
무언가를 조명하려 든다면 그건, C. S. Lewis 나 기타 등등이 아니라 예수여야 한다.

지금 기독교의 가장 큰 문제인 "기독교의 신(神)이 누구인가???" 하는 주체성에 관한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라도.

야웨(YHWH) 하나님?
나사렛 예수?
바울?
교부들?
바알?
대체, 여기에 몇을 더 추가해야 직성이 풀리겠는가..!

그래서 난 이런 책이 달갑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도 모르는 예수 - 톨스토이 스토리 바이블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이동진 옮김 / 해누리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나를 이해시켰다.

누구에 대해?

성경의 저자들에 대해.
그 저자들이 저지른 성경의 다(多)차적 변개에 대해.

아마도,
톨스토이는
대단한 금욕주의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이 제가 아는 것이 나왔을 때 그간의 침묵을 깨고 목청을 높이 듯,
금욕이란 단어가 튀어나올 때마다 그는 대단히 강경한 어조로 이를 표현하고 있었다.
또한,
본래 성경에는 들어있지 않은
"동일본질(Homoousian)" 이란 단어를 삽입 한 것이나,
이른바 "5 계명" 이란 것을 들먹이는 등,
저자의 주관적 관점이 글의 본래의 내용과 의도를 크든 작든 훼손하고 있었다.
그러니..
그러한 과정을 직접 목도해 보니..
과거, 그들이 했을 짓거리들이 비로소, 이해가 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해_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바이나,
근본적으론 성경의 변개에 동참한 꼴이라 더 많은 수의 별을 매길 수는 없었다.
또한 그가 서문에 밝힌 자신의 위치가 본문 속에 녹아난 위치와 정확히 들어맞지 않아
읽는 동안 고개를 갸웃거리게 만든 점도 별점을 감하는데 일조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쉘코어 목욕놀이 오리가족(72158)
쉘코어
평점 :
절판


큰 오리가 삑삑 소리라도 난다면 좋을 듯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삶을 가르치는 은자들
피터 프랜스 지음, 정진욱 옮김 / 생각의나무 / 2002년 10월
평점 :
절판



생각의 전환을 꾀하고자,
이제 그만_
가슴을 마구 도려내는 기독교에서 나를 환기시키고자,
철학서가를 배회하다 뽑아 든 책이었다.
그리곤,
큰 기대없이 책장을 넘겼는데
예상 외의 월척을 낚은 기분이다.

나는,
드디어,
그토록 찾아 헤매던,
친구를 만난 것이다.

책을 읽는 내내,
'이것이 나의 삶이다'
'이것이 나를 기다리고 있는 삶이다'
라는 생각이 뇌리를 떠나지 않았다.
아마도 나는 몇 년 후쯤 이를 실행에 옮기지 않을까 싶다.
누구처럼 은자들만의 동네로 이사를 들어가 그네들과 이따금씩 교분을 나누며 은둔을 추구하진 못하겠지만 말이다.

이 책은 개괄적이어서 무언가를 당장 얻어내기에는 역부족이다.
윤곽이 흐릿한 어떤 것을 뚜렷이 하는데는 도움을 받을 수 있겠지만,
그들에게서 어떤 깨우침을 즉각적으로 얻고자 한다면 허술하고 지루하기 짝이 없는 책이다.
-디오게네스와 관련한 일화를 제외하고는. 디오게네스 일화는 완전한 코미디다.-
그러니까 기대치가 높으면 별로인 책이고, 기대치 없이 그저 본다면 생각 이상으로 거둬들이는 것이 많을 책이다.
나는 후자(後者)여서 별 10개를 매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