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 왜곡의 역사 - 성서비평학자 바트 어만이 추적한
바트 D. 에르만 지음, 강주헌 옮김 / 청림출판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책을 읽은 이유는,
단지 서평에 댓글을 달기 위해서 였다.
우연히 읽게 된 서평 덕에 어만의 신간 소식을 알았고 그의 논조를 비평하고 싶어 일부러 책을 읽었다.

일단,
● 나는 바트 어만을 신뢰한다.
● 서평에 언급 된 헬무트 퀘스터와 버튼 맥의 저술은 읽어 본 적이 없으나 크로산의 책은 읽어 보았다.
● 내게 크로산은 이 분야-역사적 예수 연구-의 맨 끝에 해당한다.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하게 읽혀야 할 부분은 프롤로그다.
프롤로그엔 그가 역사적 예수 연구에 합류하게 된 배경과 변화의 필연성 등이 기술되어 있다.
프롤로그만 읽어 보아도 서평을 쓴 글쓴이-이후 글쓴이로 줄여씀.-의 "복음서에 대한 불신에서 출발하고 있다" 는 주장이
저자의 동기를 왜곡시킨 거짓이란 것쯤은 대번에 알 수 있다.


글쓴이의 두 번째 문단.


1) 이 책 뒷면에 보면 "성경의 모순을 파헤친 화제작!"이라는 문구가 있는데, 그렇다면 저자는 고대에 기록된 모든 역사적 자료도 전부 믿을 만한 것이 못 된다고 주장해야 한다.
2) 정확성과 같은 '현대'의 역사기술학(객관적인 역사기술)의 관심이 반영되지 않았다고 해서 복음서에 모순이 있다는 주장은 현대적 편견일 뿐이고 저자의 안티 기독교 성향에 의한 것이다. 과거의 역사기술학은 현대의 역사기술학과 다르다. 복음서는 고대 그리스 로마 '전기'의 양식(bios)을 엄밀하게 따르고 있다.
1)
쉼표를 사이를 두고 두 개의 문장이 연결되어 있다. 허나 이 둘에는 인과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못한다.
뒷 문장을 충족시키려면 쉼표 앞 문장에 '고대 기록은 믿을게 못된다'는 전제가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빠져 있다.
맘이 급해서였을 수도 있지만 나는 의도적으로 저자의 전문성을 왜곡시키기 위해서 였다고 생각한다.
2)
바트 어만은 학자다. 연구자다. 또 권위자다.
그의 연구는 역사를 대하는 과학적 방법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종교를 떠나 정치든, 사회든, 다른 어떤 분야든 역사학자들에겐 역사를 연구하는 방법, 그것을 체계화 시킨 공통된 방법론이 존재한다.
바트 어만은 그 방법론을 가지고 종교를, 기독교를 연구했을 뿐이다.
그러니 글쓴이가 언급한 "'현대'의 역사기술학 ...... ." 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말이다.
외려 성향에 의한 편견은 글쓴이가 가지고 있고, 그 때문에 그는 바트 어만을 호도하고 있는 것이다.
-책에 보면 복음서 저자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글쓴이의 주장-복음서는 고대 그리스 로마 '전기'의 양식(bios)을 엄밀하게 따르고 있다-을 참으로 여기면,
복음서가 학식이 깊은 사람에게서 쓰여졌다는 말이 된다.-문맹률을 고려하자.-
그런데, 바트 어만이 그렇게 말하고 있다.-


글쓴이의 세 번째 문단.

1)그리고 모든 역사는 훗날의 해석이다. 바트 어만도 마찬가지다. 바트 어만의 예수는 실제 예수에 대한 역사적 설명이 아니라 예수가 누구인지에 대한 훗날의 해석일 뿐이다.
2) 또한 역사적 설명에 신앙이 개입되어서는 안된다는 주장도 편견에 불과하다.
3) 신앙이 제공하는 예수상이 예수의 역사적 실재의 진정한 인식과 일치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1)
훗날의 해석이면 '거짓'인가?
바트 어만의 기술 방식을 두고 신뢰를 논한다면 그건 가능하다.
추론이란 방식은 항상 말이 남기 마련이니까.
허나 훗날의 해석이어서 '신뢰할 수 없고', 한낱 '편견'이 된다면 이는 인간 지성에 대한 모독이라 불러야 마땅하다.
2)
바트 어만은 그런식으로 주장하지 않았다.
'역사적 사실'과 '신앙 고백'은 다르다고. 그러니 그 두개를 따로 보아야 한다고. 했을 뿐이다.
3)
이 주장은 거짓이다.
성경만 읽어봐도 이 주장은 거짓임이 명백하다.
바트 어만은 책에서 성경 속에 존재하는 '모순'의 전부는 아니지만 꽤 많은 부분을 증거로써 언급했다.
성경을 읽었는데도 모순이나 오류를 발견하지 못했다면 이 책의 도움을 받아 직접 찾아 봐라!
그러면 누가 거짓을 말하고 있는지 확연히 알 수 있다.
더불어, 이들이 왜 계속 거짓을 주장하는지 그 이유까지도 유추할 수 있다.



불가지론자 바트 어만을 위한 변명.
바트 어만이 불가지론자가 된 까닭은 삶이 예수의 가르침과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뭐.. 이런 것이 아닐까 싶다.
예수는 마리아를 더 귀히 여겼지만, 현실 세계는 마르다를 더 원한다는 것.
누군가가 신발 한짝을 달라하면 다른 한짝도 내어주라는 예수의 가르침이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들기는 커녕,
결국은 타인으로 하여금 나를 '이용해 먹어도 되는 사람'으로 인식하게 만든다는 것.
뭐, 그런 것들 사이에서 갈등을 겪다 불가지론자가 된 것이 아닐까 한다.
허나,
그렇다하여 그가 '사단'이 된 건 아니다.
그저 예수가 인간이 되었을 뿐이고 절대자인 신은 한 분 뿐이라 여기는 정도.
-원래 불가지론자라 하면, 신의 존재함에 대해 '알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하는 부류를 뜻한다.
허나, 바트 어만은 이 부류가 아닌 것 같다.-


덧붙임.
생각해 본다.
문제의 시작은 어디였을까?
결국,
원래는 낱 권이었던 문건들이 한 권의 책으로 취합되었기 때문이 아닐까.
예수가 죽었기 때문이 아닐까.

영생교.
그들의 건재함에 묻고 싶다.
조희성이 죽었는데도 어떻게 건재할 수 있느냐고.
그리고,
2천년 전 제자들에게도 묻고 싶다.
사실은 뭐냐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구 2010-09-22 03: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서평을 쓰신 님의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뭔지 논리적으로 따라가기가 너무 어렵네요.

Yaa 2010-09-25 18:33   좋아요 0 | URL
책의 안내서로써 서평을 쓰지 않았습니다.
저자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 주장하는 어느 이에게 반박하고 싶어 글을 썼습니다.

제 글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반박 - 변명 - 후기로요.
'프롤로그 - 글쓴이의 두 번째 문단 - 글쓴이의 세 번째 문단' 까지는 반박.
'불가지론자 바트 어만에 대한 이야기' 는 제가 어만을 위해 해줄 수 있는 변명.
'덧붙임' 은 이 책을 읽고 난 후 갖게 된 생각을 적은 후기.

헌데,
구분이 명확치 않은게 문제인가 봅니다.
그리해 문구 하나를 삽입해 수정을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