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수는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 ㅣ 게리 윌스의 기독교 3부작 3
게리 윌스 지음, 권혁 옮김 / 돋을새김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도움으로 '가이사의 것'이란 포스트를 작성할 수 있었다.
내겐 더 새로울 것 없는 책이었지만 -나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줄곧 고뇌해 왔다.-
적.어.도. 자신이 그리스도를 따르고 있다 주장하고픈 기독인이라면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새겨서 듣길 바란다.
저자는 카톨릭 신자로 보인다.
때문에 개신교도인 나와의 작은 입장차가 있었다.
'여호와 하나님 = 사랑'이라는 데에는 서로 이견이 없으나
내 경우엔 삼위일체론을 가나안의 다신교적 습성에 그 기원을 두는 반면, 그는 기독교 전통교리로써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와 나는 각기 둘 다 성찰(省察)이란 걸 했다. 허나 서로 다른 결론에 이른 것이다.
나는 그 이론을 부정(否定)하고 있고, 그는 인정(認定)하는 것으로.-
그래서 거기에서 오는 입장차가 좀 있었다.
그 외에는 그이나 나나.. 우린 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하나님을 향한.. 깊이 있는 성찰은 특정한 누구들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시대를 사는 누구라도 할 수 있는 일이다.
하나님을 향한 사랑만 있다면.
만약, 할 수 없다 여겨진다면 그건 사랑이 아닌거다.
이 책에 정말 말끔한 단락 하나가 있는데, 여기에 소개하고자 한다.
세상으로부터 지탄 받는 기독교. 무엇이 문제이겠는가?
내가 왜 『주님과 함께』란 페이퍼진에서 탈퇴 통보를 받아야만 했는가?
오늘날, 우리가 이성(뇌)을 되찾아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길버트 체스터턴은 기독교 정신은 실패한 것이 아니라, 단 한번도 제대로 시도되지 않았을 뿐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제대로 시도했을 때, 예수의 경우에서 알 수 있듯이, 그것은 위협으로 간주되었다.
교회는 모든 극단주의를 거부한다.
그것은 그들이 예수를 거부한다는 뜻이다.
그들은 가난한 사람들과 거리를 두면서, 그들을 향해 립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들은 예수가 절대 화려한 복장을 입지 않았다는 명명백백한 사실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예수는 금으로 만든 성배나 값진 그릇을 소유하거나 사용하지도 않았다.
그에게는 입을 맞출 보석 반지도 전혀 없었다." (91p.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