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번째 강의를 듣고 나서 많은 생각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지느라, 쉽게 글을 정리할 수 없었다. 생각이 정리되지 않아 글을 쓰다 지우길 몇 번, 책(재현이란 무엇인가)를 다 읽은 이 시점에서 일단 고민을 정리해 봐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첫번째 강의를 들으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개념'에 대한 이해였다. 내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개념(가치판단이 내재된 인식의 틀, 도그마)을 깨야 하는 것인지, 또는 다름에 대해 긍정하는 것인지, 부수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라는 것인지에 대한 판단이 서질 않았다. '보편적 진리는 없다.'라는 말을 예로 들면, 내 도그마 안에서는 보편성에 대한 부정, 특수성에 대한 인정까지는 이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진리' 특히 그것이 신과 연결된 절대성에 대한 의미일 때, 그것이 과연 없는가, 존재하지 않는 것인가에 대해 이해해야만 했을 때의 당혹스러움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그래서 두번째 강의가 무척 기다려 졌고, 궁금했다. 아쉽게도 몸이 안좋아 결강을 하게 되었지만. 선생님의 글 『재현이란 무엇인가』를 통해, 그리고 그동안 고민해 온 내 생각들을 정리하며 그간의 고민을 정리해 볼까 한다.

 

"지금, 여기"
인간이란 삶을 산다. 삶을 산다라는 것에는 주체성, 능동성이 포함되어 있다.
보통 사회적 통념으로부터 우리는 상식(사회, 시대의 도그마)을 학습한다. 학습은 수동적이다. 내가 아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로부터 배워 익히는 것이다. 나를 가르치는 누군가 역시 또 다른 누군가로부터 배웠을 것이다. 학습 안에는  수 많은 과거의 순간이 함축되어 있지만, 그 안에 현재는 없어 보인다. 그래서 우리는 삶을 살 때, "지금, 여기"를 간과하기 쉽다. 그래서 재현적 사유를 뛰어넘어, 의심하고 부정하고 능동적으로 사유하라 말하는 것일까.   

 
"과정으로서의 사유"
내가 가진 도그마를 부수고, 또 다시 개념지워진 그것을 부수고, 또 부수고, 결국 그 과정의 끝에는 뭐가 있을까? 라는 의문을 내내 지울 수 없었다. 재현적 사유를 뛰어넘자는 것은 새로운 개념을 짓자는 것이 아니라 부수고 부수는 그 과정을 중요시 한다. "지금, 여기"를 살아가는 우리의 주체성, 열정, 능동성이 발휘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공명"- 다른 사람으로 살기! 시선을 비틀다!
김춘수 시인의 "꽃"은 나와 너(꽃)의 공명의 순간을 포착했다. 마르틴부버의 『나와 너』에서도 공명의 순간을 이야기 한다. 기존에는 아무것도 아니었던 것이 '공명'하는 순간 그것이 아닌 '너'가 되고, 꽃이 되는 것이다. 어떻게 공명할 것인가? 다른 사람이 되어 보는 것이다. 또는 다른 개체가 되어 보는 것, 나의 시선을 비틈으로써 '공명'의 틈새를 열어 볼 수 있다. 

 
 

아직도 정리되지 않는 생각들에 글을 어떻게 마무리 지어야 할 지 막막하다. 단순히 재현적 사유를 뛰어넘기위해 노력해야 겠다는 다짐만으로는 뭔가 개운치 않다. 좀 더 고민이 필요 할 것 같다. 내가 가진 의문, 그리고 재현적 사유를 뛰어넘는 것에 대하여..



댓글(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10-01-25 08: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 같이 고민해보죠..저도 아직 명쾌하게 뭔가 확 와닿지는 않아요...뭔가 있는데 그 뭔가가 뭘까 고민중이랍니다...

북길드 2010-01-25 1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 여기'를 살아가며 '사유'하는 '나'는 도대체 누구인가? 주체에 대한 다음번 강의를 들으면 안개에 갇혀 있던 이런 의문들이 조금이나마 모습을 드러내지 않을까요?

타갸 2010-01-25 14: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는 아무도 아니다,이지 않을까요? 참.. 어렵습니다. 아무도 아닌 나를 인정하면서 살아간다는 게...

북길드 2010-01-25 15:01   좋아요 0 | URL
아무도 아닌 나...이 댓글을 보았더니 갑자기 오뒷세이아의 네모(nobody)가 떠오르는 건 왜일까요? 아무도 아닌 나, 라는 게 실체로서의 불변하는 자아가 없다는 뜻이지, 단순히 내가 없다, 난 아무것도 아니다, 라는 건 아니겠지요...진짜 어렵네요.

서정아 2010-01-26 09: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른분들의 생각을 들으면서.. 좀 더 내용이 정리되어 가는 느낌입니다. 아무래도 '주체'에 대한 고민과 더불어 할 수 밖에 없겠구나 하는것에 동의합니다.

알라딘공부방지기 2010-01-29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다른 모임 때문에 <철학과 굴뚝청소부>를 한 10년 만에 다시 읽고 있어요. 분명히 읽었던 책인데, 어쩜 그렇게 새롭던지. 저 역시 '주체'의 문제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모든 종교와 지혜로운 말씀들은 '나없음'을 향하고 있는데, 어째 그게 쉽지만은 않네요.